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건축, 인테리어 회사에 들어가고 싶은데 가능성 있을까요

조회수 11,982 2020-05-18 수정
4년제 지거국이고 학점은 3점대 후반이에요
건축기사 따고 실내건축기사 따려고 준비중이고
전산응용건축제도는 필기 붙고 실기 준비중입니다
실습이랑 인턴이랑 총 합쳐서 1년정도 설계사무소에서 일한 경험 있구여
그런데 건축과나 디자인과가 아닌 전혀 다른 전공인데 입사할 가능성 있을까요? ㅠ 서류 넣은 곳 아무곳에서도 연락이 안오는데 자격증 때문인지 전공 때문인지 뭐때문인지 모르겠어요 ㅠ 공고에는 학력 무관이라고 되어있던데,,
관련 업계 종사하시는 선배님들 부탁드립니다 ㅠ
대기업보다는 작은 설계사무소나 인테리어 회사 들어가고 싶어요 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6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71268 건축기사 / 4년차 Lv 2

    설계사무소에서 일을 하셨으면 캐드능력은 안봐도 인정할거같습니다 본인이 현장직으로 갈지 설계직으로 갈지 진로를 정하신다음에 현장은 처음부터 시작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2020-06-0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970110 건축기사 / 24년차 Lv 1

    저도 전공이 아닌 사람이지만 꼭 전공자가 아니어도 가능해요 하지만 열심히 자격증 준비해서 따시고 최대한 많은걸 보유하시면 가능할거에요 그러다 경력쌓이면 훨씬 수월하구요

    2020-06-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737188 건축기사 / 3년차 Lv 3

    인테리어 회사는 건축분야보다 소규모 사업이에요. 그래서 설계 도안도 내부 수정 밖에 없고 수익구조가 시공과 단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그냥 보여지는 모습이 디자인이 중심일 것 같아보이지만 실상은 그러지 않고 유지보수 리모델링 이런개념이에요. 요즘들어 광고성이 중요해져서 그래픽 작업이 관심도가 이전보다 높어져서 3D시안을 잘뽑고 싶어져서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회사마다 업무스타일이 다르고 편차가 크다고 할 수 있어요.
    사업규모가 작기때문에 회사 수익 구조상 종합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요. 디자인을 따로 구성해도 여러 문제가 많습니다. 작은 설계사무소로 간다고 하면 건축기사가 있으니 따로 준비 하실게 없고 캐드를 잘다루시기만 하면됩니다.
    근데 매우 힘들거에요. 도면은 정말 기계같이 수시로 뽑아내야 하거든요. 돈도 안되고 제일 사업가치가 낮아요.
    인테리어 회사는 설계사무소랑 좀 다른면으로 힘들어요. 스케치를 선호하는 회사도 있는대...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해요..
    왜냐면 아이디어 스케치 하기위해서 필요한데 아이디어스케치는 예쁘게 그려내질 못하거든요.. 공유하면서 클라이언트와 스케치하고 그러면 괜히 엉뚱한 방향으로 가거나 신뢰적인 방향으로 가기 힘들거든요. 그리고 스케치로만으로 그 느낌같은 것은 잘 전달이 안되고 그냥 별도의 자료로서 만족밖에 안되고 시간을 소모하기만 하여서 아마도 요즘은 스케치를 그려내는 것은 잘 못봤어요. 3D그래픽으로 보여주는게 클라이언트에게 좀더 신뢰를 주고 느낌 전달이 쉬운것 같아요.
    시안을 뽑아내는데 시간이 넉넉치가 않아요. 수시로 요구 조건에 반영해야 하는데... 좋은 이미지를 제시하려면 프로그램에 능숙하고 이미지의 분위기 연출도 실력이 좋아야 해요. 그럴려면 사실 다양한 소스와 다양한 작업을 해본 최소 5년이상 경력자를 사용해야 하는데... 인테리어회사 수준에는 보통 사회초년생 급여 수준밖에 안되요.
    실상으로는 실내건축 자격증과는 별개의 일이고 공공기관에 취업하려면 필요합니다.

    2020-05-20 작성
  • 고졸, 65세, 건축기사, 에폭시,우레탄,방수전문입니다.
    제대하고 복직이 어려워 갈팡질팡하다, 사우디로 갔읍니다.
    다행히,서류작성을 마니 해봐서 사무실근무를 햇지요...
    근무 중에 현장에서 제가만들던 에폭시로 콘크리트로 보수작업하는것을 보앗읍니다.
    멋진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후 건축현장에 가리지않고 뛰어 들었읍니다.
    적용공법을 이해 한 후 이곳저곳 다니다가 지금은 개인공사도 하면서, 마땅한 자리 알아보고 있읍니다.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굳은 일 가리지말고 시작하세요, 나중에 도움됩니다.

    지금은 지역에서 누구에게도 지지않는 실력을 가지고 있읍니다.
    그 간에 어려웠던 시간들이 많았지요.. 전공따지지 말고 발부터 들여놓고 할려고 하는 자세로 돌입하세요...
    노력중에 깨달음이 있을것입니다 ... 내가 머리가 나뻐? 손과발이 없어? 하는 생각으로~

    2020-05-1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539587 건축기사 / 8년차 Lv 1

    안녕하세요. 후배님!!
    저는 4년제 지거국에 건축과전공이었습니다.
    건축설계만 경험이 있어서 저는 인테리어회사에 들어가기가 처음에 많이 힘들더라구요.
    전공자가 아니시더라도 실습경험이 있으면 경험이 없으신거보다는 낫지만
    아무래도 전공이 좀 더 중요하게 생각될수 있긴해요.
    하지만 실내건축기사 자격증을 꼭 따고, 포폴에 좀 더 신경을 쓰시는것도 중요해요.
    실내건축기사 자격증이 있으면 회사에서 입찰할수 있는 공사의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작은 회사들은 특히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더 뽑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전공자가 아니시다보니 자격증을 준비하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저는 포폴때문에 인테리어전문학원의 구직자과정을 듣고 학원을 연계해서 다니기도 했어요.
    학원에서 소개해준 회사에 입사한건 아니지만, 처음에 인테리어회사에 입사하시면 그 다음에는
    경력직으로 이직이 쉬우니 꼭 힘내세요!!
    작은 인테리어회사를 지원하신다면 꾸준히 지원하시면 충분히 승산있습니다!!

    2020-05-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173590 건축기사 / 1년차 Lv 1

    작은 설계사무소 회사경력 3년차로써 말씀드리자면,

    최근 퇴사한 회사는 상업도 하지만 큰 평형대 주거 전문 회사였어요.
    디자인 능력을 보기보다 보조디자이너로써 서폿을 많이 필요로 했어요.
    실제로 뽑았던 경우를 보면 상업에서 설계만 1년 경험있는 사람
    경력이 아예 없는데 인테리어 배우는 학원?에서 작은 공사 2번 해본 사람
    미대 출신인데 인테리어 학원다녀서 인테리어 하고 싶다는 사람
    전공과 상관없이 많이 뽑았죠. 대부분 신입을 많이 뽑고 1년정도하다가 퇴사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지금와서 느끼는건데 자격증이 중요한게 아니라 어느정도 일을 할 수 있는?
    말을 잘 알아듣고 힘든데도 버틸 사람이 필요했던 거 같아요
    그래도 회사 포폴이 괜찮으니까 전 들어갔고 힘들다고 포기한게 아니라
    미적인 능력보다 전체적인 공정과정, 도면같은 툴, 설계능력을 키우고자해서
    2년간 다녔고 1년 지나서는 연봉도 15%오르고 프로젝트도 단독으로 하게 되었어요.
    디자인도 차츰 제안하는 경우가 많았구요

    그 회사가 추구하는게 뭔가 파악하시는게 중요할 듯 해요.
    조그만 회사면 가르치는 사람보다 바로 투입되서 일을 할 사람을 원하니
    아무래도 신입은 안뽑히겠죠!
    특유의 디자인 색깔이 있는 회사는 일을 잘 할 것 같은데도 자기색깔이 강한 사람은 안뽑을테고
    반대로 자기색깔이 없으면 디자인 소신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요.
    어느 건축회사는 아무리 경력이 있어도 건축학과 아니면 뽑지도 않더라고요

    무수히 많은 상황들이 있기 때문에 회사 파악을 잘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2020-05-1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8755827 건축기사 / 2년차 Lv 1

    안녕하세요, 고민이 많으셔서 질문 올리신거같아 조금이라도 도움이될까해서 몇 자 적어봅니다!
    전공이 어떤 전공인지는 모르겠으나 1년정도 설계사무소에서 실무 경력이 있으니 다른 전공자인데 실무경력이 없는 분들보다 뒤쳐지지 않는 강점이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저는 전공자임에도 불구하고 실무랑 다른 부분이 많아서 신입때 당황한 부분이 많았거든요~ 전공이 다르다 해도 그 전공수업으로 채운 지식을 mentor4573182님이 일하고싶은 분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어필하시고, 인턴경력을 어필하시면서 실무분야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다고 어필하면 좋을것같아요! 생각의 차이일 것 같아요. 전산응용이 어떤 내용을 접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만일 이쪽 분야에 지원시 가령 엑셀분야에 능통해서 기획이나 기본설계때 타겟 및 참고자료 분석자료를 만들 때 도표나 자료를 다른사람들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어필하실 수도 있을것 같구요~!
    저는 K인테리어회사에 디자이너로 5년차로 재직중이에요. 아직 많은 경력은 아니지만 큰회사에 있으면서 다양한 전공으로 입사한 분들을 여럿보았어요! 인턴을 경험하시고도 이쪽에 취직을 원하시는거라면 끈기있고 성실한 모습 잃지 마시고 도전해보시면 분명 좋은결과가 있을거에요:) 지원할 때 그 회사 내력이나 포트폴리오 꼭 참고하시고 주변 지인분들께도 자문 많이 구하신 후 작성하시면 서류에도 도움이 될거에요~ 시국이 불안한 지금이지만 도전하는 모습이 예뻐보이네요!
    화이팅이에요!

    2020-05-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009013 현장관리자 / 17년차 Lv 2

    지금은, 이직하기 쉬운 때는 아닙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저희회사도 추진하던 일의 절반이상이 보류되가나 취소되었습니다.
    이쪽계통의 전반적인 형국이 이러합니다. 물론, 이런 시국에도 일을 많이하는 곳도 있겠지만, 극히 일부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이직시점을 내년이후로 잡으셔야 그마나 수월하실꺼에요.

    건축기사 취득하셨다면, 실내건축기사 취득은 말리고 싶습니다.건축기사보다 하위개념의 켄텐츠에 왜 시간허비를 하시는지..
    차라리, 분야가 완전 다른 자격증에 도전해보세요.
    참고로, 저도 실내건축기사 특급기술인입니다.
    경력관리는 꾸준히 하고있지만, 건축기사 네임벨류는 못쫓아갑니다.참고하세요.

    코로나문제를 떠나, 인테리어 사무실에서 신입을 잘 뽑지 않는 이유는 리스크가 많기 때문이에요.
    특히나 현장직은 신입보단, 경력직위주로 뽑는 추세입니다.
    한번의 사고는 회사의 존폐와 직결되거든요.

    설계직으로 적절한 시점에 이직을 고려하시고, 설계직으로 이직에 성공하면 커리어 좀 쌓다가 현장직으로 전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화이팅입니다.

    2020-05-19 작성
  • 말씀 감사합니다. 일단 자격증에 중점을 두고있어요
    조언감사드립니다..

    2020-05-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956027 건축기사 / 1년차 Lv 1

    제가 자세하게 설명드리면 인테리어 설계는 캐드위주로 많이 하게됩니다. 평면도 입면도 천정도 등이 있죠..캐드같은 경우는 속도와 정확한 도면을 치는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신입을 많이 뽑지는 않아요. 신입이 도면을 치면 아무리 빨리친다고해도 한 프로젝트당 몇일 걸립니다. 하지만 경력직은 금방이죠. 캐드치는 속도가 빨라야합니다.


    스케치업/3dmax 같은경우는 하는데도 있고 안하는데도 있죠. 요새는 인테리어 회사마다 경쟁을하기 때문에 많이 뽑긴하지만 그만큼 다른 회사보다 실제사진처럼 보일수 있는만큼의 실력자를 봅니다. 실제 사진처럼 보인다는건 포토샵리터칭까지 할수있는정도입니다. 대학생들이 포토샵리터칭을 세심하게 하는 친구들 별로없습니다. 제가 3dmax 가 주업무라 신입뽑을때 포트폴리오 보는데 형편없어요. 3dmax 는 프로젝트당 퀄리티있게 몇컷을 뽑는데 시간이 오래걸린만큼 실제사진처럼 보일수있게 포토샵도 잘해야합니다. 합성도 잘해야하구요.

    그리고 일러스트 및 엑셀도 알아야합니다. 일러스트같은경우는 회사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큰 프로젝트같은경우 다른 인테리어디자인회사와 경쟁을하기때문에 발표자료만들때 필요하구요. 견적을 내는것등 엑셀도 알아야하구요.

    제일 중요한건 현장을 알아야합니다. 아무리 캐드잘하고 맥스 스케치업 잘해도 현장에서의 목수.조적.타일.전기.경량 그외 너무 많은 업체가 들어오기때문에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등이 뭐가 있는지 알아야해요.
    저도 이거 배우는데 1년걸렸지만 현장감독으로써 밑에 업체들에게 무시안당할려면 무조건입니다.

    무조건 모든걸 내꺼로만든다하고 배우시고 일하십시오. 그래야 실력을 키워서 회사차립니다. 화이팅하세요. 아 마지막으로 마감재 많이 아셔야하구요. 그리고디자인을 많이 보시고 연구하세요. 컬러에 대해서도 공부하셔야하구요. 이쁜 상업.주거공간등 이쁜데 있으면 많이 가보시고 사진많이 찍으시고요. 취직해서 현장가시게 되면 현장사진많이 찍어두세요. 홧팅입니다.

    2020-05-18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