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2년제 학점은행제 학사 학위 목표 재학 중, 백엔드 개발자 목표하고 있습니다.

조회수 384 2024-04-30 수정

 고졸, 27살, 여자입니다. 작년부터 학점은행제 컴퓨터공학과를 다니고 있습니다. (내년 8월 졸업 예정입니다) 고졸이라 정처기 자격이 안 돼서 정처산기 필기와 SQLD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네트워크관리사2급 취득한 상태입니다.


 백엔드 개발자가 되려면 후에 어떤 자격증을 더 따야 하는지 (정처기는 106학점 이상이면 응시자격 주어진다고 하는데 맞나요?),

 포트폴리오는 어디에서 할 수 있는지, (개발블로그? 같은 것도 있다곤 하는데 팀 프로젝트가 더 좋다고 해서요...)

 개발 언어는 초심자가 독학하기에 편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84522 백엔드개발자 / 20년차 Lv 5

    안녕하세요.

    목표가 취업이고 처음일 때는 여러가지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자격증이외에도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할 수 있는 자격증 취득은 다 했다고 보기 때문에 정보처리기사는 내년 졸업반일 때 준비할 수 있게 지금은 자격증은 잠시 멈추고 다른 내용에 대해서 답변드립니다.

    어느 회사나 웹사이트 운영한다면 백엔드개발자가 있고 무슨 개발자인지는 회사의 업종과 직무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면 회사를 알아보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업무과 하고 싶은 업무를 정해서 범위를 좁히고 다음에 회사의 채용공고를 보고 개발언어 등 요구하는 것을 봐두는게 좋을 듯 합니다. 자격증도 채용공고에서 필수로 요구한다면 준비하면 됩니다.

    포트폴리오의 주제는 위와 같이하여 정하고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하는지는 스터디/프로젝트모임 등의 협업이나 책/영상 등의 교재 통한 독학 등이 있다보니 어떤 것이나 접근은 쉬우나 이후는 실제로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팀이 맞는 사람이 있거나 혼자가 맞는 사람도 있다는 겁니다.

    어떤 언어를 입문 하겠지만 처음에는 여러가지 언어를 접하고 느껴보고 비교할 필요는 있습니다. 초심자가 독학을 통해서 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언어의 공식홈페이지의 예제가 기본일 것이고 이후에는 오픈소스 등의 분석을 통하고 실제 웹사이트를 베껴서 코딩을 해보는 단계까지 간다고 봅니다. 코딩테스트라는 것도 있는데 이건 언어 중심보다는 문제해결 방법 등을 언어로 표현한다라고 보기 때문에 다른 영역입니다. 취업 전에 코딩테스트나 코딩 연습을 많이해야 겠지만 취업 후에는 대부분 코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코딩 전에 최대한 여러가지를 넓게 알고 실생활의 개념과 연결을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늦지 않게 결과를 요구하기 때문에 지금 개발자가 되길 원하는 것도 무엇을 만들지에 대해서 정해서 큰틀을 가져야 된다고 봅니다.

    참고하십시오.

    감사합니다.

    2024-05-0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멘토겸터0프로필클릭0 경영·비즈니스기획 / 13년차 / 09학번 Lv 5

    현재 신입 개발자 시장이 좋지는 않습니다. 전략을 잘 짜야 하는데 정보처리기사가 있으면 좋긴하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정말 좋은 학교가 아니면 실력만 있으면 인정 잘해주는 곳이 개발자입니다. 이력서, 자소서, 포트폴리오 잘 만들어서 입사지원하세요.

    2024-05-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100984 R&D·연구원 / 5년차 / 12학번 Lv 5

    정보처리기사 따고 취직하세요

    2024-05-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914718 소프트웨어개발자 / 14년차 Lv 1

    전반적인 내용을 말씀드리는 것이니 한 번에 다 한다 생각치 큰 지도를 본다는 느낌으로 봐주세요.
    학과 커리큘럼의 컴공 이론, 개념들이 앞으로 뭔가를 배울 때 계속 복리로 들어오니 잘 배워두세요. 채용할 때도 이 내용에 대한 이해를 물어보고 기술 책을 봐도 이 기술은 어떤 개념들이 더해졌고 기존에 많이 사용되던 기술의 어떤 단점을 대체하기 위해 나왔다로 시작합니다. 개발은 자격증 보다 말씀하신 프로젝트 경험과 코드 품질 같은 것들이 더 중요하고 AWS 같은 클라우드 관련 자격증은 인정해주는 곳을 몇 번 봤지만 인프라 관련 직군입니다.
    개발 블로그는 구글에서 어떤 기술 검색하면 잔뜩 나오는데 티스토리, 미디엄, velog, 마크다운 기반 깃헙페이지(지킬 등) 같은 것들을 사용합니다. 보통 꾸준히 배우고 있다를 보여주기 위해 하는 사람들과 학습 또는 작업 후기를 비롯한 특별히 깨달은 인사이트를 남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후자의 블로그를 높게 평가하는 편입니다.(저도 공감하지만 CTO 급 분들께서) 잘 모르면 velog 를 들어가서 다른 분들의 블로그를 보세요. 시작하시려면 부담 없이 티스토리를, 내가 배우고 이해한 내용이 맞는가를 피드백 받고 싶다면 velog 에서 시작해보세요. 평생 누적하는 느낌으로 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요.
    팀 프로젝트는 어느정도 혼자 뭔가를 만들기 시작했을 때 역할 분담을 이해하고 진행할 수 있게 되면 참여하세요. 그래야 팀 프로젝트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하실 수 있을겁니다. 토이프로젝트로 검색하시면 다른 분들이 어떻게 하는지 볼 수 있고 그중 완료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것부터 깃헙에 차곡 차곡 쌓아보세요.
    news.hada.io 는 조금 이른 뉴스로 해외 IT 트렌드를, velog, 요즘IT 는 요즘 개발자들의 트렌드를 살펴보는데 유용합니다.

    2024-05-01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7307083 채널관리자 / 6년차 Lv 1

    고등학교때부터 프로그래밍을 공부하고, 컴공졸에 개발자이지만, 코딩할 줄 모릅니다. 자격증도 없음. 그냥 하셈. 이상.

    2024-05-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미스터K 3D디자이너 / 4년차 Lv 5

    물론 자격증은 있으면 좋지만, 취업이 목표시라면
    개발 언어 공부(코딩) 및 깃헙 (Github) 프로젝트 업로드
    그리고
    개인 또는 팀 프로젝트 포트폴리오가 더 중요합니다!

    독학으로 가신다면 백엔트 공부 트리를 따라가시는 걸
    추천드리고, 팀 프로젝트 같은 경우 카톡 커뮤니티에
    풀스택 커뮤니티에 들어가셔서 팀원을 구하거나 조언을
    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파이썬이 초심자가 배우기가 좋습니다!

    잘 준비하셔서 좋은 곳에 취업하시길!
    화이팅 입니다! :)

    2024-04-30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