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1,500

Q 20대 중반 조리사

조회수 655 2024-02-13 작성

20대 중반 조리사인데요 대학교는 실용음악과를 나왔지만

20살때부터 주방에서 일해오면서 졸업하고도 주방에서 쭉 일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자격증도 없고 지금까지 개인업장이나 프렌차이즈에서 일해왔다보니 앞으로 경력과 미래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경력을 쌓아가야 할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8
  • 프로필 이미지 mentor1186949 조리사 / 5년차 Lv 1

    저는 32살에 전공도 하던 직종도 아닌 단체급식에 입문했는데요 대기업 계약직으로 경력1년 쌓고 이직했어요
    아직 젊으시니까 호텔이나 급식이나 다양한 길이 있으니 어느쪽이든 마음가는곳에서 일을 경험해보시는게 좋아요
    요즘은 조리과 출신이 아니어도 사람이 귀하기때문에 경력만 있으면 입사 가능합니다.
    조리기능사 자격증 1개만 취득하면 되니까 어려워 하지마세요

    2024-03-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475778 요리사 / 14년차 Lv 2

    자격증이 없으면 중견기업 이상인곳에서는 취업을
    할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2~3개 정도의 자격증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1개의 자격증을 취득하게되면 자신감이 생겨서
    또 다른자격증을 취득하는것은 쉽다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주방에서 계속 일을 할계획이라면 자격증부터 취득
    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2024-03-0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473403 조리사 / 33년차 Lv 1

    mentor3008894님 조리업무가 적성에 맞으세요?
    적성과 취향에 맞으시면(개인업장이나 프렌차이즈) 보다는 다양한 음식을 조리는 하는 전문업장 쪽으로 근무 해보는것 추천 드립니다.
    혹여 개인업장이나 프렌차이즈가 나뿌 다는 것은 아닙니다.여러가지를 아울러서 하는 업장에서 근무를 하시면 많은 경험치가 쌓일 것으로 생각 되네요. 조리라는 것은 많이 경험해 보는게 최고 인 것 같아요, 많이 하다 보면 실패 할때도 있고...최고은 맛을 내는 방법도 찾을수 있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격증은 2개 정도는 꼭.!! 취득하세요.
    빅5(삼성웰스토리,CJ프레시웨이, 아워홈,신세계푸드,현대그린푸드) 및 호텔 취업 계획이면 자격증 2개는 필수 입니다

    2024-02-27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371442 조리사 / 5년차 Lv 1

    일단자격증을취득하세요 취업성공패키지에신청하면지윈받아서 무료로취득할수있어요

    2024-02-19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4825703 셰프·주방장 / 6년차 Lv 1

    자격증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크게 문제없는수준입니다
    다른분들의 좋은 조언과 함께
    스스로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공부를 꾸준히 하는 습관을 가지시면 좋을것같습니다.

    2024-02-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434093 안전관리자 / 9년차 Lv 2

    자격증 먼저 취득하세요~무엇보다 취업에도 자격증이 있고 없고 차이가 큽니다.그리고 개인 업장은 추후 사업에 관심 있으시면 괜찮지만 워라벨과 안전한 직장을 원하시면 기업에 입사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024-02-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343945 조리사 / 5년차 Lv 1

    일단 주방일만 하셨다니 실무는 어느정도 쌓였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조리 지식, 디테일한 스킬이 부족할 수있으니 일하시면서 자격증부터 따는 걸 추천드립니다. 또 본인이 외식업체 어디서, 어떤 형태로 일하고 싶은지 제대로 목표를 정하고 그에 맞는 일을 하면서(알바든 계약직이든) 정말 내가 계속 할 수 있는 일인가 해보면서 진로 잡아가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2024-0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723558 셰프·주방장 / 17년차 Lv 1

    요리가 정말 나의 길이다 라고 확신이 드시면
    나이도 충분하니 외국으로 나가세요
    한귝에서는 100년이 더지나고 자격증을 종류별로 다가지고 있어도 결국 3d업종에 최저임금 몸이골로가는 근무시간은 바뀌지 않을겁니다

    저는 군생활부터 음식을 했고
    자격증이 있으며 이후 20년간 음식업에 종사하는중에 일본과 호주에서 같은일로 직장을 다니다 왔습니다.
    인터넷음식장사로 꽤 시청률이높은 프로그램에서 10분방송분량의 취재가 나가고
    마쉐코 3시즌에 부트캠프입성 하여 방송에도 출연을 했지만!!

    20년간 주방장의 페이는 크게 달라지지않았구요
    워라밸 따윈 다른세상이야기이며
    점점 레시피로만 운영하는 곳이 많이졌기 때문에
    정통 요리사는 쓸모가 없어지고 있어요

    외국은 다릅니다
    쿠킹자체를 예술로 보고 요리사는 종합예술인으로
    인정합니다
    무엇보다 고생을 하면 그만한 댓가를 정당히 지불해요 그게 중요한거라고 봅니다

    만약 그래도 한국에서 요리를 하시겠다면
    레시피대로 찍어내는 식당말고
    오너쉐프가 직접 음식을 연구하는 곳으로 가서
    커리어를 쌓으세요

    한국 요식업의 미래는 근 10년전부터 캄캄했습니다

    2024-02-1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046295 셰프·주방장 / 19년차 Lv 1

    요리사는 위생과 식재료를 알맞게 써야합니다.
    서로 상극인 식재료도 있고 독소를 가진 식재료도 있습니다.
    전문적으로 요리사를 하고 싶다면 공부를 더하는걸
    추천합니다.
    칼질만 한다고 요리사가 될수없듯
    자격증 취득하시고 아간대학 호조과 다니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024-02-1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808104 요리사 / 6년차 Lv 1

    먼저 원하시는 방향을 잡고 설계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조리쪽에서도 요리와 디저트 제과 제빵 으로 나뉘듯 업장 또한 특성에 따라 호텔, 골프클럽, 대기업, 생산직, 중소기업, 단체급식, 푸드코디, 식품개발, 요리강사 등등 으로 세분화가 많이 되어있다보니 "큰 루트"를 하나 정하시고 그와 관련된 업장 또는 필요하거나 관심있는 스킬들을 배우시면서 습득하시고
    조금씩 천천히 방향성을 잡아가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격증을 면허처럼 필수로 보는곳도 있고 아예 보지않는곳도있고 특성에따라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이것저것 시도해보시고 공부하시면서 본인에게 맞는 루트를 먼저 찾아보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주방일에서 원하시는 스타일과 각 주방마다 특성을 먼저 생각해보시고 그걸 토대로 하나하나 풀어나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

    2024-02-15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