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1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직해야 할까요?

조회수 3,918 2024-01-11 작성

안녕하세요, 1년 차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저는 정보보호학과 4년제를 졸업하고 국비(백엔드) 교육 6개월을 다닌 후 바로 취직하여 현 회사를 1년째 다니고 있습니다. 회사를 입사하고 2주 정도는 저의 실력을 체크하는 과정을 거쳤고 그 뒤로는 실제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투입되어 개발을 해왔습니다. 인원이 적은 회사이다 보니 프론트, 백엔드를 동시에 하고 있는데 어렵지 않은 비즈니스 로직, API 구현, 쿼리 작성 등의 개발이 30%이고 나머지 70%를 javascript, jquery 등을 사용하여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매일 왕복 2~4시간의 출퇴근을 하면서 1년째 출근 중인데, 최근 들어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이직을 고민 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1년 동안 단 하나의 프로젝트만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커서 그럴 수 있다는 건 이해하지만 하나의 프로젝트만 진행하다 보니 매번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기술만 사용하여서 도태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저와 같은 학원 출신 분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다양한 기술, 프로젝트 구조를 경험한 이야기를 들으니 더 조바심이 드는 것 같습니다. 이런 걱정이 피크를 찍은 시점이 연말입니다. 연말에 대표님께 2023년에 수주하려 했던 프로젝트들이 잘 안됐고, 그래서 회사 재정이 어떻고 이런 부정적인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들으니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하지 못하는 게 아닐까...? 라는 의심이 들었습니다. 1년 차는 경력으로 쳐주지 않는 것 같아서 더 버틸까 고민은 했지만 그러다 무의미한 경력이 되어버릴 거 같아서요... 지금이라도 참여한 프로젝트 내용을 정리하고 개인 프로젝트를 준비해서 이직하는 게 맞을지 아니면 경력을 더 쌓고 이직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야근을 하더라도 더 많은 경험을 쌓고 싶은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도태되고 싶지 않아요.. 도와주세요ㅠㅠ



1. 이직을 한다고 하면 포트폴리오, 경력 기술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저는 참여한 프로젝트가 한 개이다 보니 다른 분들에 비해 내용이 빈약할 거 같은데 하나라도 상세히 적어야 할까요? (이직 사유를 새로운 회사나 퇴사할 회사에 솔직히 말해도 될까요..)

예시. 어떤 기능을 개발했고 이따 어떤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했다. 슬로우 쿼리가 발견되어 쿼리 튜닝을 했었다 등등.. 



2. 현 회사에 남아서 경력을 더 쌓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면 퇴근하고 난 뒤에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주니어 개발자의 개인 프로젝트에 어떤 기능들이 녹아있으면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ㅠㅠ 

예시. SSO 등..



3. 도태되지 않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제가 현재 공부하고 있는 방법은 개발 강의(UDEMY)를 보거나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개발 커뮤니티를 보면서 TIP?같은걸 보는 정도입니다.. 



4. 회사에서 선호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격증이 있을까요? 현재 저는 정보처리기사, SQLD, 리눅스마스터 2급, 컴퓨터 자격증 3개 정도 있는데 백엔드 개발자라면 네트워크도 좀 알아야 한다고 해서 네트워크 관리사도 공부할지 고민 중입니다.. 그리고 프로그래머스 자격증도 알아준다고 하길래 이것도 취득해야하나 고민중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차갑고 냉철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9
  • 프로필 이미지 mentor1051703 백엔드개발자 / 2년차 Lv 4

    도태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은 주니어로 불안감을 주는 생각이죠

    저도 비슷한생각을 했던적이 있는데
    선배님들에게 조언을 구했을때 회사 업무로 새로운 스택을 쌓아가거나 하는 환경은 드물다고 하시더라고요 본인의 기술역량을 늘리고 싶으면 쉽게는 하고 있는 업무관련된 부분에 한단계 더 나아간 내용을 찾아보거나 쓰고 있는 라이브러리의 단점을 찾아 보완하는 것과같은거로 기술 역량을 늘리기도 하라고 하더군요

    다른사람들이 사용하거나 익히는 새로운 라이브러리 혹은 프레임웤 모듈 같은게 무조건 본인에게 득이 되거나 하지는 않아요
    관련해서 내용을 숙지해두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긴하겠죠
    그치만 내가 나아갈 방향과 상관이 없는 스택이라면 그냥 다른 개발자와 소통하는정도의 도운음 될수 있겠죠

    질문에 대한답변은
    1. 한개를 바탕으로 적어도 본인의 역할을 깊이 있게 적는게 중요해요. 혼자 프로젝트를 추가로 한다고 해도 그 프로젝트의 깊이가 중요하갰죠

    2.퇴근후 별도의 프로젝트 보단 내가 사용하는것들에 관련된 기술을 습득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주니어 개발자는 본인이 얼마나 모르는지, 좋은코드 나쁜코드 구분 기준 같은것도 아직 갖기 힘든 때 입니다

    3.도태 되지 않기 위해서는 개발 뉴스레터같은거를 지속 참고 하고 기업들의 트랜드 개발직군의 트랜드를 알아두어야겠죠. 그러나 트랜드에 너무 꽂히지말고 본인의 기본기를 우선시 해야한다고 생각 해요

    4. 자격증은 많을 수록 좋긴한데 자격증이 의미 없는 도메인쪽에소 일하시면 소용이 없는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자격증이 실질적으로 지원기준 연봉기준에 영형을 미치지 않는 회사를 갈거라면 중요하지 않아 다른걸 먼저 하길 추천드립니다

    2024-01-1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629531 웹개발자 / 14년차 Lv 3

    요즘 유행하고 있는 기술로 토이 프로그램을 한번 해보세요.
    백엔드를 예를 들어 요즘 유행할 것 같은 typescript, REST , GraphQL 을 사용해서
    만들어 보세요. 너무 거창하게 하면 힘드니까
    처음엔 포스트맨으로 호출할수 있는 CRUD 한 세트를 만들어 본다고 생각하고 만들어 보세요.

    2024-01-23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4070742 웹개발자 / 18년차 Lv 1

    본인에게 다시 질문해보세요 정말 개발하고 있는지를 ....

    2024-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인사마스터 인사담당자 / 7년차 Lv 5

    해당 포지션은 경력연차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1년 2년 짧게 이직하신 분들이 연봉이 훨씬 높습니다.

    프로젝트성으로 생각해주세요. 연차 생각마시고 본인이 해당 기업에서 개발해낼 수 있는 건 다하였다고 생각하면
    과감히 이직하는 것이 개발자의 기본 이직 팁입니다.

    응원합니다.

    2024-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3824113 웹개발자 / 17년차 Lv 4

    음 프로젝트만 하는 회사면 에이전시가야죠 가면 적은 연봉에 일은 죽지 않을정도로 시켜요 아마 요즘 나온 형식은 다 해보니 다양한 경험이 생기죠 단점은 깊이가 약해요. 보통 프론트 백앤드 개념이 요즘 나온 형식의 사이트나 해당이죠 백엔드 개발자는 api개발하고 프론트 개발자는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서 처리하는 작업들을 위주로 합니다. 쿼리는 dba 개발자가 전문적으로 하구요. 근대 그건 큰회사나 아님 큰프로젝트할때나 해당사항이구요 보통은 다해요 국내 기준으로는 거진 다 한다고 생각을 해서본인을 플스텍 개발자라고 하심되요 근대 1년차면 그거 인정 잘안해요 그리고 다양한 경험이 없으니 전반적으로 인정 받기 어려운 년차 시구요 현재 아직이라 아직은 비추입니다 아직은 2년차 되고나서 생각해봐요

    2024-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222269 앱개발자 / 11년차 Lv 3

    경력이라는거는 다양한 체험을 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해야 경력을 얘기할 수 잇습니다.
    쇼핑몰,쿠폰시스템,홈페이지,자동화,채팅,미디어 서비스 등 여러가지를 만들고 유지보수해온 경험이 잇어야 일을 할때 의견을 얘기할 수 잇습니다.

    자격증은 면접시 참고사항에 해당합니다.

    1년차이니. 음.
    1. 일본어나,영어를 자격증 따서 외국기업에 파견간다.
    요즘 외국기업에서 인력이 부족해 많이 모집합니다. 급여도 국내보다 훨씬많구요. 복리 좋습니다.
    2. 위시캣같은 외주 플랫폼에서 저렴한가격에 수주받아서 경험 쌓는다.
    3. 백앤드만 하지 않고 , 앱,프론트도 해서 초보 풀스텍 개발자로 변신한다.
    4. 대기업 채용공고를 보고 필요한 요건을 준비한다. 기한을 정하고 연습풀이하고 면접준비를 한다.

    내가 1년된개발자라면 이런 시도를 할거같아요.

    맹목적인 학습보다는 목표가 정해진 학습이 제일 중요합니다.

    2024-01-1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1007553 프론트엔드개발자 / 4년차 Lv 3

    1년차 이직은 비추합니다

    2024-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0984522 백엔드개발자 / 20년차 Lv 5

    안녕하세요.

    매일 하던 것은 익숙하게 되는데 꼭 편하지는 않습니다. 불편한 것도 매일 해서 익숙한 것입니다. 익숙할 때 새로운 것을 안하고 시간이 지나면 도태될 수 있습니다. 편할 때도 새로운 것을 해봐야하고 불편할 때도 새로운 것을 해서 편하게 바꿔봐야 합니다.

    새로운 것은 남이 알려주는 프로젝트 등으로 얻을 수 있겠지만 누가 그런 기회를 주는지 의문을 가져야합니다. 댓가를 지불하게되는 것입니다. 스스로 찾는 것은 남에게 빚질 이유가 없습니다.

    새로운 것이 아니라면 안해본 것을 찾으면 되겠습니다. 내 입맛에 맞는 것만 찾다가는 편식하게 되어서 성장이 안됩니다. 초기에는 여러가지 넓게 알아보고(맛보기) 개념까지는 알아야(먹어서 몸에서 느낌) 생각이 유연해지게 됩니다. 어떤 표현으로 맛만 보는 것이 있는데 그건 안하는 것보다 못한 시간낭비입니다. 먹고 내 몸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는 지는 되어야 겠습니다.

    1) 이력서는 감정이나 과장된 것을 넣지말고 있는 그대로 면접때도 같은 말로 할 수 있게 합니다. 이력서에 없는 내용을 면접때 말하거나 과장되게 말하는 바람에 탈락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 내용도 전체 내용 중에 일부분을 참여했고 그 부분에 기능을 어떤 기술로 만들었다 정도입니다. 할 수 있다는 가능성 등은 별도 문단에 마지막에 두거나 면접때 소감 정도로 참고합니다.

    2) 특정한 기술에 얽매이지 말고 참고만 하고, 자신이 사용자로 가정하고 불편하여 개선할 점을 찾은 다음, 이제 개발자로는 개선할 때 어떤 기술이 좋은가로 접근하는게 더 낫겠습니다.

    3) 2번 답변 처럼 하다보면 지금 공부하는 방법으로는 느릴 수 있습니다. 의문을 가질때 여러가지 경로로 찾을 수 있게 합니다. 공식문서를 많이 보고 대신 팁이나 친목위주의 커뮤니티는 줄입니다.

    4) 회사마다 요구하는 자격증이 다르다보니 취득해도 의미가 없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것이 있다면 그것으로 하십시오.

    자신이 먼저 가능성을 회사에 알려주면 회사가 자신을 대우해줍니다.

    감사합니다.

    2024-01-1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15207 백엔드개발자 / 16년차 Lv 2

    하신 질문 하나하나가 다 답변할 내용이 적지 않은데, 1000자 제한이라 어쩔 수 없이 간단하게 남깁니다.

    1. 포트폴리오나 경력기술서는 웹 검색이나 온라인 서점에서 프로그래밍 면접 책 중 인기도 높은 책 보세요. 앞으로 업계 생활을 오래 하실거라면 전 회사에 대해서는 좋게 말할 생각이 없다면 그냥 언급을 안하는 게 좋습니다. 이직 이유는 새 기술 스택에 대한 갈망 같은 적당히 좋은 이유를 대는 게 좋습니다.

    2. 개인 프로젝트라도 보안(인증/인가/CSRF/CORS 등등), 요청 검증(validation), 로깅(logback), API 문서화(Swagger), 에러처리, 테스트 등등의 기본적인 내용은 구현되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얘기하시는 SSO는 보안 쪽에 속하죠. 주니어면 프론트나 백엔드의 기본적인 내용들만 잘 녹아있어도 괜찮은 평가를 받을 겁니다. 스프링 쪽 하시면 spring security in action이 웹 보안 관련 넓은 내용에 대해 많은 상식을 알려줘서 좋더군요.

    3. github.com/kamranahmedse/developer-roadmap 이 사이트에서 본인이 원하는 분야를 클릭하시면 그래프로 기술 로드맵이 나옵니다. 해당 기술 중 필수적으로 분류된 거 다 알 정도면 해당 분야에서는 괜찮은 시니어가 되실 듯. 공부는 개발자면 사실 혼자 할 수 밖에 없지만, 효율이 안나면 돈 주고라도 필수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안하는 거보단 매우 좋은 판단입니다.

    4. 자격증 보다는 개발 실력이 좋은 사람을 선호하고, 대신 정보처리기사는 SI/SM을 할 때 공공분야에서는 많이 요구해서 있으면 나쁘진 않습니다. 다른 자격증은 차라리 기술력을 쌓으시고 이후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예: DevOps 직렬의 쿠버네티스 공인 자격증) 따셔도 됩니다.

    그리고 지식을 쌓으실 때 자격증 책보단 그 분야 기초 서적(예: TCP/IP, HTTP, 데이터베이스 기초 서적)이나 강의를 보시고 다음 수준으로 레벨을 높여가는 게 낫습니다. 화이팅입니다.

    2024-01-11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