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차대변

조회수 1,404 2023-11-02 작성


전산회계를 땄는데도 이게 헷갈려요 

쉽게설명좀 부탁드려용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2
  • 프로필 이미지 mentor0489511 회계담당자 / 2년차 Lv 3

    어떤 부분을 설명드려야 할 지 몰라서 간단한 예시를 들어볼게요.

    회사가 어떤 자산을 취득을 합니다. 건물일 수도 있고 기계장치일 수도, 원재료나 상품 재고일 수도 있겠죠. 우선 상품 재고를 100원 만큼 매입했다고 예시를 들게요.

    이 때, 회사는 같은 자산인 현금으로 대금을 바로 지불할 수도 있고 바로 현금을 지급하지 않고 보름 안에 대금을 주겠다고 약속을 하든 계약서를 쓰든 해서 외상매입금이나 미지급금 같은 부채를 발생시킬 수도 있죠.

    이 경우 차대변 분개는

    (차변) 상품(자산 증가) 100원 / (대변) 현금(자산 감소) 100원
    혹은
    (차변) 상품(자산 증가) 100원 / (대변) 외상매입금(부채 증가) 100원
    이런 식이 되겠죠.

    그럼 외상으로 매입했다 치고, 외상대금을 현금 지불 했을 땐 당연 반대로

    (차변) 외상매입금(부채 감소) 100원 / (대변) 현금(자산 감소) 100원
    이 될 거구요.

    이번엔 저 상품이라는 자산을 150원에 외상으로 판매했을 때 분개를 보면

    (차변) 외상매출금 (자산-매출채권 증가) 150원 / (대변) 상품매출 (수익 발생) 150원
    (차변) 매출원가 (비용 발생) 100원 / (대변) 상품 (자산 감소) 100원

    150원의 수익이 발생해서 150원의 미래 경제적 효익을 얻을 수 있는 외상매출금이라는 자산을 얻었고,
    저 150원의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품이라는 재고자산이 100원만큼 감소(=유출) 되었으므로, 이를 매출원가라는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결과적으로 수익에서 비용을 제하면 50원이라는 "이익"을 남기게 되구요.

    앞의 예시가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우선 자산-부채-자본 과 수익-비용의 정의를 먼저 이해하시고

    자산 부채 자본은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BS=FS) 계정이고, 수익 비용은 손익계산서(=PL=IS) 계정이라는 것을 구분지어 익혀 보세요.

    저는 처음에 회계를 익힐 때 어차피 차변 증가면 당연히 대변 감소라는 점에 착안해서 증가 / 발생만 무조건으로 외워두기도 했었어요.

    2023-11-0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회법 세무사 / 3년차 Lv 5

    해당 사진은 거래의 8요소라고 불리우는 기초적인 회계원리 중 하나 입니다.

    차변에는 총 4개
    자산의 증가/부채의 감소/자본의 감소/비용의 증가
    대변에는 총 4개
    자산의 감소/부채의 증가/자본의 증가/수익의 증가

    회계를 하는동안 어떠한 분개처리를 하더라도 차/대변에는 해당되는 4개의 요소 외에 거래가 올 수 없다는 뜻 입니다.

    예를 하나 들자면, 상품을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에는 차변에 "상품" 대변에는 "외상매입금"으로 처리가 됩니다.
    위 분개는 상품 매입으로 인한 차변에 자산의 증가, 돈을 지급하지 않고 외상으로 매입 했으니, 대변에 부채의 증가가 되는 경우입니다.

    하나 더 예를 들어드리면, 1000원 짜리 볼펜을 현금으로 샀다고치면
    볼펜은 사무용품비니까 차변에 비용의 증가, 비용에 대해 현금을 지급했으니 대변에 자산의 감소가 오게됩니다.

    위 분개대로 차변에는 대변에 4요소가 올 수 없으며, 대변에는 차변에 4요소가 올 수 없습니다.

    이것이 거래의 8요소의 처리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2023-11-02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