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지금 국비로 풀스택 과정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

조회수 1,618 2023-07-01 작성

안녕하세요

지금 국비로 풀스택 과정수강 중인데 사실 프론트에 더 흥미를 느껴서 프론트개발자로 가려 했으나 강사님께서 백엔드가 더 전망이 좋다고 하시더라구요

하지만 백엔드 ㅜㅜ 너무 어렵습니다

최근에 프로젝트를 했었고 기능도 몇개 구현하긴했는데 강사님은 그럼 충분히 취업할 수 있다고 하긴 하시는데 이게 제가 무엇인지 알고 구현한게 아니라 어쩌다가 구현된 느낌..이랄까요

이런 저도 취업할 수 있을까요

아님 당장 프론트로 취업하고 나중에 좀더 공부한 후에 백엔드로 가는게 좋을까요ㅠㅠ

취업을 앞두고 생각도 너무 많아지고 고민이 많아져서 글 남겨봅니다 ㅠㅠㅠ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14
  • 프로필 이미지 mentor7104778 IT컨설팅 / 15년차 Lv 2

    개발자들은 아마 죽을 때까지 진로 고민을 할 것 같습니다.
    요즘은 IT 혹한기입니다. 년차가 쌓인 개발자들도 픽픽 쓰러지고 있습니다.
    신입개발자들에게는 더 가혹한 환경이네요.
    요즘같은 시국에선 다음 2가지에 집중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지금 자신이 제일 잘하는 것으로 해서 포트폴리오 만들고 어디든 취업하는 것
    프론트엔드쪽을 하셨다고 하니 본인이 가장 자신이 있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웍으로 무엇이든 좋으니 포트폴리오를 만드시고 이것을 무기로 어디든 취업하시는 것을 제1목표로 삼으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이력서에 3년이상 경력 한 줄 만들기
    첫 직장에서의 근무이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많은 회사들이 첫 직장에서 몇 년을 근무했는지 많이 봅니다. 처음부터 좋은 회사 좋은 사수를 만나면 정말 좋겠지만 그럴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적당히 월급 밀리지 않고 사수도 적당히 스트레스 안준다면 3년이상 버티면서 프론트든 백엔드든 열심히 공부하시면서 때가 올때를 기다리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P.S: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입니다. 이력서 첫 줄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건강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07-29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3297435 백엔드개발자 / 15년차 Lv 1

    프론트가 흥미 있다면 프론트로 먼저 시작을 한 후 나중에 백엔드로 전향을 해보는 것도 방법일꺼 같습니다.
    보통 백엔드에서 프론트로 가는경우는 많지만 프론트에서 백엔드로 넘어오는 경우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풀스텍이라는 단어에 다 해야한다는 부담감은 갖지마시구요.
    요즘은 프론트 서버 이렇게 나눠놔서 둘다 해야하는 경우는 많이 없습니다.

    2023-07-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216972 백엔드개발자 / 3년차 Lv 1

    안녕하세요. 꼭 제 얘기 같아서 답변 남깁니다.

    내부회계솔루션 유지보수 담당하고 있는 백엔드 주니어입니다.
    저도 국비 지원 6개월 과정 수료하고 취업했는데요...
    사실 회사에서 비전공 신입에게 기대하는 것은 크게 없다고 봐도 좋습니다.

    우아한 테크 코스나 카카오 테크 캠퍼스 같은 메이저 교육 과정 아니라면
    프론트든 백엔드든 일단 취업부터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실무에서 겪고 배우는 것은 공부와는 질이 다르거든요.

    너무 겁먹거나 위축 되지 마시고 잠재력 믿고 도전하세요. 파이팅입니다!

    2023-07-25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83783 웹개발자 / 8년차 Lv 3

    어차피 학원에서 배우는건 한계가 있고 취업하게되면 배워가면서 경력 쌓는다고 생각하시면되요
    백엔드냐 프론트엔드냐는 알아서 정해서 경력을 쌓아가시면됩니다.

    2023-07-24 작성
  • 국비 수강했었던 사람입니다. 국비로 풀스택과정을 저도 했었습니다만 백엔드가 전망이 더 좋은것은 사실입니다.
    저는 백엔드를 진로를 잡고 공부를 더 하고 있습니다. node.js, nodemon, kubernetes, Makefile, docker 컨테이너 등 계속 공부를 끊임없이 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자바 백엔드는 서버하고 확실히 붙어있진 않아서 애매하긴 합니다만 그쪽도 클라이언트 백엔드 즉 서버 측에서는 프론트엔드라고 할수있습니다.
    자바로 프로그래밍을 작성할뿐 , 외부 public ip 와 통신하는 쪽은 다른 곳에 분류가 되어있으니까요.
    프론트를 공부하고 백엔드로 가는건 비추합니다. 무조건 백엔드를 먼저 공부하고 프론트로 가야 얘가 조금 더 쉽구나를 느껴요.
    저도 프론트 먼저 공부했었었고, 그렇기에 정말 공감합니다..
    컴퓨터상에서 어떻게 구조가 돌아가는지 알면 결국 프론트자체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서 더욱 쉬울것이고, 명명(이름 규칙)
    이 있어서 더욱 쉬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07-17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771045 웹개발자 / 1년차 Lv 1

    국비 수료하고 곧 바로 취업한 수강생입니다 . 인천에 있는 한 IT 스타트업에 4개월가량 다니는 중인데 저희는 프론트,리액트 하시는 분이 따로 계셔서 프론트 할일은 없고 백엔드위주로만 하고 있는데 프론트 하시는 분을 보면 디자인 팀이 일을 잘 하지 않는 한 백엔드 만큼 난이도랄까 하는건 비슷하더라구요 . 백엔드는 데이터의 흐름같은 해당코드,로직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랑 문서어느정도 볼줄 아시면 신입때 잘 버티실 수 있을 겁니다 . 화이팅입니다.

    2023-07-12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1841409 백엔드개발자 / 2년차 Lv 1

    국비로 풀스택이요...? ㄷㄷ 프론트도 백을 어느정도 알아야되고 백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피가되고 살이되는 것이니 잘 맞는것에 도전해보시는게 맞죠 ㅎㅎ

    2023-07-1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8165458 백엔드개발자 / 5년차 Lv 1

    전망보다도 얼마나 흥미를 느끼시는지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어차피 앞으로 공부할수록 알아야 할게 더 많다고 느껴지실겁니다.
    모든 지식을 한번에 다 알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실무에가서 경험하고 꾸준히 노력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주니어 개발자의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도움되셨으면 좋겠어요!

    2023-07-0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428128 백엔드개발자 / 10년차 Lv 2

    취업은 정말 타이밍. 운이 맞아야되는 것 같기는 합니다. 왜 프론트 쪽을 하고 싶으신지 알려주셨으면 더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우선 요즘들어 구분하는 프론트/벡앤드 개념은 실제 현장에선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신입으로 들어가시면 둘 다 연관되는 부분을 이해하셔야 업무 진행이 가능하니까요.

    예를 들자면 프론트에서 뭔가 구현하려는데 백엔드에서 선개발 및 테스트를 지원해줘야합니다. 그럼 백엔드 개발자와 소통해서 서로 원하는바를 조율해야겠죠? 반대로도 같습니다. 장애가 발생해서 원인을 추적하는데 백엔드에서 확인이 어려운 부분들은 프론트에서 디버깅을 같이 해달라고 하죠.

    경력은 사실 디버깅. 오류 해결. 문제 해결 경험의 누적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무리 날고 기는 경력자여도 새로운 환경으로 들어가 업무 파악하려면 꾀나 시간이 필요해요.

    그러니 너무 걱정만하지 마시고 우선 부닥쳐보시기를.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더군요. ^^

    2023-07-0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7209962 프론트엔드개발자 / 9년차 Lv 1

    현직 개발자 경험을 토대로 비례할때 와 K사 , N사등 경험 했던 기준으로 비례할때,
    정말 큰 서비스의 경우 두가지 포지션을 한사람 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더러 할수 있더라도 주니어 에게는 할당 하지도 않고요.
    어떤 기술을 과정을 밟으셨는지 모르겠으나, 본인이 어떤것에 흥미가 있는지를 판단하시고
    한가지만의 길을 토대로 취업을 염두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도 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 생태계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흉내는 누구나 낼수 있는것처럼요.

    2023-07-03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