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비전공 개발자 풀스택 수료 후 취업 안돼

조회수 1,462 2023-06-19 작성

국비지원으로 학원 수료 후 취준생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동기들 말 들어보면 150군데 서류 넣어서 하나 연락왔다.

55군데 넣어서 하나 연락왔다 등 불안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들려오는데요...

저는 아직 그렇게 많이 넣어보진 못했지만 덜컥 겁이납니다

제 이력서가 부족해서 연락이 안오는건지

아니면 그만큼 많이 지원을 해봐야하는건지..


학원 다닐때는 그래도 남들보다 실력도 앞서나간다고 생각했는데 이력서에서 광탈하니 답답하고 자존감도 낮아지네요 ..

요즘 신입 개발자 취업 이렇게 어려운가요? 지원하는 사람들 몇십명 백명 넘어가는데 그분들과 경쟁해서 서류에 합격하려면 어떤 이력서를 만들어야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1730693 웹개발자 / 1년차 Lv 1

    저도 작년 8월에 국비학원 마치고 개발자로 취업했습니다. 그때 사람인에 이력서 넣으면서 몇명 지원했는지 보면서 넣었는데 보통 50명이내? 지원했고 경쟁률도 지금처럼 높지는 않았어요. 그래서 저는 그때 하루에 3군데 면접 볼 정도로 면접 볼 기회도 많이 있었어요. 취업도 쉽고 초봉도 나쁘지 않아서 친구한테 국비 개발자 과정 추천을 했고 친구가 이번년도 4월달에 국비 학원을 마치고 지원을 하는데 경쟁률이 훨~~~씬 많이 올랐더라구요. 지원현황 보니까 기본 100~300 명 지원한곳도 많더라구요. 제 친구가 100군데 지원했는데 면접을 3번 봤어요. 근데 전부 탈락 되어서 아직 취준중이에요. 결론은 시기적으로 지금이 힘들때이긴 한거 같아요. 저는 si에서 근무하는데 요즘 프로젝트도 거의 없어서 초급들은 프로젝트 투입 안돼서 대기하는 인원이 많이있어요. 원래 저희 회사도 매달 인원을 뽑았는데 프로젝트가 너무 없고 초급은 잘 쓰지도 않으니까 신입 안뽑은지 6개월 됐어요. 저도 지금 본사에서 프로젝트 투입 못되고 대기한지 4개월 되가네요. 4개월 동안 프로젝트 면접을 한번밖에 못봤어요.. 프로젝트 투입 할때까지 오전 근무만하고 월급 절반으로 전환되어서 지금 이직 알아보려고 50군데 지원하니 그래도 일주일안에 2군데 연락은 오더라구요. 저는 정보처리기사, sqld 있고 프로젝트 하나 투입되서 완료한 경력이 있어서 그나마 연락이 오는거 같아요. 일단 자격증 같은거나 코딩테스트 준비, 포트폴리오 준비에 집중하면서 가능한 많이 지원해보세요.

    2023-06-24 작성
  • 프로필 이미지 개발하기싫은개발자 웹개발자 / 10년차 Lv 2

    솔직히 이력서를 받아 검토하고 면접을 보고 있는 위치에 있다보니, 비전공자 이력서를 많이 받아보곤 합니다.

    비전공자 이력서는 대부분 비슷한 내용과 비슷한 포트폴리오를 제출하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지도 않고 특별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합니다.

    결국 비슷한 이력서 중에서 눈에 띄는 부분이 있어야하는데,
    그 부분은 스스로 고민하고 찾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교육기관 커리큘럼에서 벗어나 홀로 부딪혀본 내용을 포트폴리오로 작성하여 보여준다던지
    하다 못해 최신 트렌드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 흔적(블로그 포스팅, 노션페이지 작성 등등)을 보여주는 방법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기본적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이력서의 오탈자라던지 직군과 관계없는 경력을 작성하는 것 같이 오해와 선입견을 불어올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 다시 확인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2023-06-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9987754 웹개발자 / 16년차 Lv 5

    신입지원자에게 기대하는 건 그닥 없습니다.
    대졸 전공이던, 비전공이건, 학원 수료건...
    물론 대졸 전공자는 기본기가 대부분 탄탄하고 배경 지식을 어느정도 알고 있어서
    업무 인계가 수월하므로 좀 더 선호하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도 포트폴리오가 왠간하게 보여졌을때 얘깁니다.

    신입 개발자의 이력서는 포트폴리오가 전부입니다.
    학원에서 짜준 프레임에만 맞춰 작성된 이력서 말고
    본인이 원하는 방향의 포트폴리오를 최대한 많이 상세하게 준비해서 첨부할수록
    많은 선택을 받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무턱대고 자바 하나 배워서 프론트 또는 백앤드 지원해야겠다 하지 마시고
    본인이 취업하고 싶은 업체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해당 요건을 충족해보시기 바랍니다.

    본인이 게임 던전 공략 파티 모집할때
    팀원 지원자들이
    나, "전사", "장비 뭐뭐뭐 있음"
    이렇게 지원오면 바로 뽑을 건가요?
    장비로 어느정도 수준을 알 수 있겠지만은
    실제로 키보드 부숴가며 공략을 해본건지 버스를 탄건지 알 수 없잖아요.

    적어도 파티장 입장에서 기존 파티원들을 위해서라도
    실제 경험이 어느정도 인지는 파악을 해줘야
    던전 공략시 파티가 망하지 않겠죠?

    포트폴리오를 될 수 있는한 많이, 업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준비해서 지원해보세요.
    아래 어느분이 작성한 내용대로 시간이 없어서 면접보러갈 수 업을 정도로 오퍼받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요즘 인재가 너무 없어요.
    저희도 업체도 백앤드 구하는데 경력자들은 프리로만 지원하고
    신입들은 대부분이 포트폴리오가 없거나 학원 메뉴얼 첨부하고...

    여튼 힘내세요!
    인재를 찾는 업체는 많습니다!

    2023-06-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5146361 웹개발자 / 24년차 Lv 2

    안녕하세요?
    업계에서는 대부분 경력자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경력을 쌓으려면 입사를 해야 하는데, 회사 선택을 너무 높은 곳만 바라보면 경력도 더 멀어지죠.
    최소 3년 정도 경력을 쌓는다 생각하시고 작은 회사라도 지원하세요.

    2023-06-22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1007553 웹개발자 / 3년차 Lv 3

    다른 이유 필요없어요 이력서를 그냥 못쓰신거예요
    잡코리아 쓰라고 하는 칸에 그냥 쓱쓱쓰면 인사담당자가 볼거없다고 생각하고 바로 꺼버립니다.

    저도 신입 취준당시 수백개씩 넣었었는데 중소도 연락 잘 안왔었고
    이력서를 뒤집어 엎으니 면접 못갈정도로 연락받곤 했습니다.

    회사에서 신입 뽑을따 학원출신으로 솔직히 실력 기대도 안합니다.

    얼마나 적응하고 빨리 따라올수있는지 같이 일해도 괜찮을지 보는거죠

    공부는 계속하되 이력서를 확실하게 개성있게 바꿔보세요

    아는분이었다면 직접 보고 도와드릴텐데 아쉽네요

    2023-06-21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302126 웹개발자 / 4년차 Lv 2

    최대한 많이 넣어야 합니다
    저는 300곳 이상 넣었습니다


    백엔드 웹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몇 가지 단계를 따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

    1. 필요한 기술과 언어 학습: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과 언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는 Java, Python, Ruby, PHP 등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기술 (예: SQL)에 대한 이해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술과 언어를 학습하기 위해 온라인 자습서, 강의, 책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프레임워크 학습: 백엔드 개발에는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Java의 경우 Spring, Python의 경우 Django, Ruby의 경우 Ruby on Rails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인기가 있습니다. 선택한 언어에 맞는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고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데이터베이스 지식: 백엔드 개발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이해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과 데이터 조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예: MySQL, PostgreSQL)와 NoSQL 데이터베이스 (예: MongoDB, Redis)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대한 이해도 도움이 됩니다.

    4. RESTful API 개념 이해: 백엔드 개발자는 주로 RESTful API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합니다. RESTful API 디자인의 기본 원칙과 HTTP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5. 프로젝트 경험 쌓기: 개인 프로젝트나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제 백엔드 개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GitHub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더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
    https://cacu.kr/3991D1

    2023-06-19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