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톡톡 세부메뉴

질문 상세 보기

Q 시스템엔지니어 경력인정

조회수 775 2023-05-25 작성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리눅스, 윈도우, 도커쿠버 국비 수강하고 네관사 2급, saa, 컴활 1급, 정처기 자격증 취득과 3tier 관련 포플이  2개있는 사람입니다


제가 하고싶은 분야는 딱히 없지만 되도록 전망이 좋은 클라우드, 쿠버네티스쪽을 생각중인데 보안, 영업만 제외하면 전망좋고 스펙쌓을 수 있다면 어디 분야든 상관은 없어요


공부는 윈도우,네트워크,리눅스, 보안기초, 개발쪽을 골고루 하고있습니다


최근 취업을 하게 됐는데 제 업무가 모니터링과 가상서버 배포하는 게 있고 여러 보안시스템, 네트워크 장비등에 대한 정기점검, 문제발생시 각 분야 담당자한테 보고서를 취합하고  제크하여 전달 관리?하는 업무인데요


여러 시스템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어 좋은 경험이라는 말이 있던대 좀 찝찝해서요ㅜ


1. 제가 여기서경력을 쌓았을 때 IT 분야든(ex 클라우드, 개발등) 경력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을까요?


2. 영어 공부도 필요할 거 같기는 한데 우선순위를 어떻게 두어야할까요?


내 프로필 > 북마크 에 추가되었습니다

현재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에 따라 복사가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래 URL 주소를 드래그 후 Ctrl+C를 눌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후배에게 답변하기 입력
솔직하고 따뜻한 답변을 남겨주세요.
0 / 1,000
답변 6
  • 프로필 이미지 mentor0357276 시스템엔지니어 / 18년차 Lv 1

    OP 및 인프라관리보조 정도 직군입니다.
    깊이파시려면 건너뛰셔야 하는 부분이고 대충 두리뭉실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시면 1년정도 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안습니다.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전반적으로 이해하시고 있으면 원하시는 방향으로 다시 도전 하세요

    1. 인프라에 대한 이해
    2.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3. 영어, 일어
    4. 클라우드 인프라 이해
    5. 보안
    6. 주 OS스킬
    7. 자동화 가능 정도의 프로그래밍 스킬
    8. 문서 작성 스킬
    9. 히스토리 정리 노하우

    2023-05-26 수정
  • 프로필 이미지 mentor2063480 9년차 Lv 1

    1. 경력의 인정
    경험의 규모와 질에 따라 좋은 경험이냐, 아니냐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하시는 업무의 규모가 임직원 500명 이상이고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이 IT에 직접적 관련이 있다면 좋은 경험쪽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담당자에게 보고서를 취합하고 전달하는 업무하신다는 걸 보니, 기술 자체에 깊게 관여하시는 업무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가시고자 하는 방향이 갑사 담당자 운영 업무라면 경험이 될 것 같으나, 갑사의 업무 경험은 동일 업종의 다른 갑사로 갈 때에만 인정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업종이 변경되면 이직도 쉽지 않고, 경력을 인정받는 경우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영어 공부
    기술자에게 영어는 도움이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때론 좋은 기회(외국계 회사나 외산 제품을 다루는 자리)가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언어의 장벽을 넘지 못하면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기술 능력이 타인에 비해 월등하여, 헤드헌팅이 오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좋은 기회를 위해서 언어는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이 좋은 기회가 많거나, 흔한건 아니기 때문에 우선 순위를 두어 의존하신다기 보다는 비장의 무기처럼 인식하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세상을 넓고 기회도 많습니다. 다만 시작점의 단계에서 경력이 한정되어 버리면 시간이 지날수록 운신의 폭은 좁아집니다. 더 많은 시간을 기술자로 살 것이냐, 아니면 관리자를 노리고 진급할 것이냐 정도에서부터 고민하면 회사 생활의 방향도 어느 정도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클라우드와 쿠버네티스쪽은 전망은 좋으나 국내 도입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는 않습니다. 운영 비용과 보안에 대한 시점이 고민되는 상황입니다. 또한 최근 C사의 IDC 장애로 인해 private 클라우드로의 재검토가 이루어지면서 투자가 가능한 회사도 한정되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2023-05-28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767670 앱개발자 / 2년차 Lv 2

    그 점검 분야로 나아가실거면 도움이 되겠지만 개발직으로써는 별로 경력적 도움은 안될거 같습니다
    그럼에도 가기서 얻은 지식이 나중에 현업에서 쓰일건 같습니다

    2023-05-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6156566 시스템엔지니어 / 7년차 Lv 1

    예전 IDC 에서 OP 하던 시절에 제가 가지고 있던 고민과 같은 성격 같아서 공감가네요:)
    다 똑같은 것도 아니고 정답은 아니지만 짧게나마 글 남깁니다.

    1. 클라우드, 개발 관련 경력으로 인정 받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SE로 전향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센터 OP 1년 근무 이력을 인정해 주지 않는 케이스를
    다수 접하였습니다. 방향 설정 후 해당 분야로의 직무이직을 빠르게 하는것이
    경력+전문성에 있어서는 이득일 거에요:) 그렇다고 1년 OP일한 기간이 결코 헛되지는 않았고
    현재의 엔지니어링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엄청나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2. 영어공부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아요.
    이직시 회사선택의 폭이 넓어지기도 하고 업무 간 유용하게 쓰이는 상황이 많더라구요:)

    오늘 하루도 힘내세요!

    2023-05-26 작성
  • 프로필 이미지 mentor2659244 시스템엔지니어 / 18년차 Lv 2

    간접경험은 큰 도움이 되지않고, 오래 다닐수록 경력관리에 마이너스입니다. 영어는 꾸준히 하세요.

    2023-05-26 작성
  • 오피아닌가여,,,

    2023-05-26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