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02월
설립연도
1,484명
사원수(2018.09)
공공기관
기업형태
2조 4,306억 원
매출액(2017.12 공시기준)
4,215만 원
대졸초임
2018년 굿 컴퍼니 공기업 부문 1위
(시사저널 주관)
세계 공항서비스평가 12년 연속 1위
세계 국제화물운송 3위
취항 도시 수
항공기 무사고 운항 100만회 달성
(2017년)
누적 여객 5억 명 달성
화물처리(2017년 기준)
세계공항서비스평가(ASQ)
12연패 달성
제2여객터미널 오픈
2001년에 개항한 인천국제공항은 지속적인 항공수요에 힘입어 국제여객 세계 8위, 화물 세계 3위의 세계적인 공항으로 성장했다.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나가 2018년에는 제2여객터미널, 제2교통센터, 철도, 도로 등의 접근교통시스템을 포함하는 3단계 건설사업을 완공시켰다. 이로써 연간 7천 2백만 명의 여객 수용과 500만 톤의 화물처리가 가능해졌다.
공항의 5만여 직원들이 고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 인천공항은 12년 연속 세계 최고 서비스 공항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에 안주하지 않고 더 매력적인 서비스와 시설을 개발하며, 연간 여객 1억 명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또한, 최고수준의 서비스로 세계 시장에 진출, 공항운영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수출 분야를 개척할 계획. 글로벌 리딩공항으로 제 2의 도약을 앞두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공항운영시스템 첫 수주 케이스는 쿠웨이트국제공항 제4터미널이다. 세계 유수의 해외 공항 운영사를 제치고 사업자로 선정된 것. 제4터미널 위탁운영을 통해 인천공항의 공항 운영 노하우를 세게 무대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로젝트인 만큼 그 의미가 남다르다. 1,400억 원 규모, 5년간의 위탁운영 사업을 통해 쿠웨이트 공항을 중동의 대표 공항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쿠웨이트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위탁운영 사업을 더 발전할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국제공항 건설 및 관리/운영의 다양한 사업군을 영위한다. 현재의 주요 사업은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관리, 운영, 주변 지역 개발, 부대사업 및 기타 국가 위탁사업 등이다. 향후 인천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의 건설운영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영역을 비롯해 공항 부지뿐만 아니라 주변지역 개발 및 부대사업 관련 인프라 구축을 진행할 예정이다.
토목, 건축, 전기, 전자, 통신 등 전 기술영역을
망라하는 복합공정적 시설 구축. 부지조성, 설계,
공사, 감리 등의 시공
여객 및 화물수송 수요의 처리, 공항 시설물의
유지관리, 공항 이용자에 대한 각종 부대서비스
제공 및 그에 따른 영업활동
공공성 강화, 더불어 성장하는 국민기업으로
국민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
공공성 강화, 더불어 성장하는 국민기업으로
국민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
허브경쟁력 강화로 항공산업 발전을 선도,
WLU 1억 허브화 지표 달성
미래형산업 육성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매출액 3조 원/EBITDA 2조 원 달성
제목 | 날짜 | 출처 |
---|---|---|
기업심층분석 5. 인천국제공항공사, TOWS 분석 | 2022-01-13 | 잡코리아 |
기업심층분석 4. 인천국제공항공사, 고객/자사/경쟁사 분석 | 2022-01-13 | 잡코리아 |
기업심층분석 3. 인천국제공항공사,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 2022-01-13 | 잡코리아 |
기업심층분석 2. 인천국제공항공사, 최신 트렌드 분석 | 2022-01-13 | 잡코리아 |
기업심층분석 1. 인천국제공항공사, 채용분석 및 기업정보 | 2022-01-13 | 잡코리아 |
상세기업정보 / Brief Credit Report (유료) | Nice 평가정보 |
안녕하세요, 인천국제공항공사 여객서비스1팀 김태일입니다. 지난 해 인사팀, 홍보기획팀에서 채용형 인턴을 3개월 경험하고, 이곳 여객서비스1팀으로 발령받아 근무 중이에요. 여객서비스1팀에서 문화예술사업 기획관리용역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요. 문화예술사업 기획관리란 인천공항에서 여객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각종 문화시설과 공연, 문화 이벤트 등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업무입니다.
크게 두 가지 핵심역량이 요구되는 것 같아요. 첫째로 개방적인 사고방식이 필요해요. 사실 제가 예술분야의 전문가는 아니잖아요. (웃음)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의 고견과 다양한 의견들을 수용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중요하죠. 다른 한 가지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해요. 대중성과 예술성 사이의 합치점을 찾아 문화예술사업에 반영해야, 공항 이용객들의 공감을 얻음과 동시에 높은 수준의 문화공항을 실현할 수 있거든요.
안녕하세요. 해외사업2팀에서 근무 중인 최종해 과장입니다. 해외사업을 지원하여 현지법인이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관리 등의 역할을 하고 있어요. 인천공항 해외사업은 2009년 이라크 아르빌공항 운영컨설팅 사업 수주를 계기로 시작됐는데요. 주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사업을 진행한 결과, 현재 쿠웨이트공항 4터미널 위탁운영사업을 최초로 수주하게 됐어요. 개인적으로는 회사 글로벌 교육을 통해 밴쿠버에 있는 UBC에서 Transportation & Logistics 석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공부하면서 익혔던 부분을 실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앞으로도 해외사업2팀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아 수주 마케팅 활동을 펼치며 글로벌 리딩공항으로 도약해 나갈 것입니다.
출근하면 해외시장 동향을 가장 먼저 살펴봐요. 세계 각지에 있는 공항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실시간으로 공고하는데요. 적합한 사업이 있으면 입찰에 응해 사업자로 선정되어야 하므로 시장동향 분석을 우선으로 하고 있어요. 특히 저는 계량통계적인 분석을 담당하고 있어서 CAPA나 OAG 같은 Data Source에 수시로 접속해서 데이터를 보고 있어요. 보통 점심시간 이후에는 쿠웨이트 현장도 오전 업무를 시작할 시간이므로 주기적으로 쿠웨이트 현지 법인과 연락해서 사업의 진행 상황을 점검해요. 특히 쿠웨이트 공항의 중장기 마케팅 전략 수립처럼 공항운영을 담당하는 현장에서 즉각 대처하기 어려운 부분은 본사 차원에서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접수기간 | 채용제목 | 경력 |
---|---|---|
채용정보가 없습니다. |
1577-2600
https://www.airport.kr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