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도 설립
임직원 수
(2019년 사업보고서 기준)
매출액
(2019년 연결기준)
R&D 투자
(매출대비 18,8%)
1973년 설립된 한미약품은 한국의 대표적인 R&D 중심 제약회사다. 인류 건강 증진을 제1의 사명으로, 지난 40여 년간 국내 제약산업을 이끌어 왔다. 1990년대에는 국내 제약산업 ‘최대 규모’의 기술 수출 성과를 거뒀다. 이후 2000년대에는 개량신약과 복합신약 개발의 선두주자로 부상하며 해외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과감한 투자로 주목받는 한미약품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선도는 물론 글로벌에서도 주목받는 혁신적인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업계 최고 수준의 R&D 투자를 이어가며 의학적 언멧니즈(Unmet Needs)를 충족할 수 있는 혁신신약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미약품의 혁신신약 후보물질은 총 30여 개로, 국내 최다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개발 분야도 NASH, 당뇨·비만 등 대사성 질환부터 항암, 희귀난치성질환, 자가면역질환까지 다양하다. MSD와 로슈의 제넨텍, 스펙트럼, 아테넥스 등 글로벌 탑 제약사들과 협업하며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및 상용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독자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LAPSCOVERY)’, ‘오라스커버리(ORASCOVERY)’, ‘펜탐바디(PENTAMBODY)’ 등 독자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약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연구를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자체개발 의약품으로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원외 처방 선두를 달리고 있다. 한미약품은 제제기술 및 R&D 역량을 바탕으로 연 매출 100억 이상인 전문의약품을 약 19개 보유하고 있다(2019년 자사 유통 데이터 기준). 특히 대표품목 아모잘탄이 포함된 아모잘탄패밀리는 국내 고혈압치료제 전체 시장(2019년 1조 8,350억 원)에서 점유율 1위(약 8.3%)를 달성하기도 했다. 순환기, 비뇨기 등 다양한 질환군의 우수한 의약품을 보유한 한미약품은 의료진과 신뢰를 쌓는 소통에도 힘쓰고 있다. 근거 중심 마케팅을 통한 심포지엄은 물론 의료정보 포털 HMP를 통해 전국 각지의 의료진에게 한미약품의 우수한 의약품을 소개해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제목 | 날짜 | 출처 |
---|---|---|
상세기업정보 / Brief Credit Report (유료) | Nice 평가정보 |
한미약품의 인재상은 “Elite 한미인상” 입니다. 크게 10가지 덕목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기본’, ‘도전’, ‘창의’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얼마나 인재상에 부합하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시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1-2차 면접은 직무공통이지만, 직무에 따라 필요한 역량이 다르기 때문에 세부적인 프로세스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1차 면접에서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과 열정, 전략적 사고 등 지원자의 실무적인 역량을 검증한다면 2차 면접은 한미약품의 기업문화와 가치, 인성, 직무적합성 등을 살펴봅니다. 국내사업부에 지원하게 되면 1차 면접 합격자를 대상으로 가까운 영업 현장에 배치해 일정 기간 본인이 해야 될 업무를 사전에 체험하게 됩니다.
한미약품 팔탄공단 품질관리팀
권영신 사원
안녕하세요! 한미약품 팔탄공단 품질관리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권영신이라고 합니다. 올해로 입사 3년 차가 되었습니다. 품질관리팀은 의약품에 들어가는 원료와 완제품의 품질을 검사해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이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품질관리팀의 역할입니다. 의약품의 품질검사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실험부터 분석장비를 이용한 시험까지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 환경에서 실험하는 것이 특이점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겉모습만 보면 단순히 실험 업무만 반복하는 직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업무 진행 중에 허가증, 공정서(대한민국약전, 미국약전, 유럽약전), Validation 등 의약품에 관한 자료를 많이 찾아보며 다양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직무입니다. 또한 의약품 제조부터 출하까지 일련의 과정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직무이기도 합니다. 특히 실험 결과를 직접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제약업계 모든 직무로 뻗어 나갈 수 있는 탄탄한 기본기를 갖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GMP를 준수하고 SOP에 따른 정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꼼꼼함이 가장 중요합니다. 기기분석 전 체크리스트를 면밀히 살피고 시험자 간 더블 체크를 시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시험 실험을 진행하다 보면 실수나 기기 관련 문제로 다양한 Lab Event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꼼꼼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수월하게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미약품 제재연구팀
조혁준 PL
한미약품 팔탄공단 제제연구팀에서 근무하는 조혁준입니다. 2013년 한미약품에 입사한 때부터 지금까지, 제제연구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제연구팀은 제품의 개발단계인 제제연구, 분석법 개발, 공정연구, Scale-up, 분석법 밸리데이션(Method validation, 시험방법 및 분석방법이 일관성 있는 결과를 확보할 수 있음), CTD 작성을 통한 허가와 시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아무래도 석사 출신이 유리한 건 사실이지만 대학원을 진학하지 않고 입사한 경우도 많아요. 제제연구 팀 내에서 이뤄지는 교육, 세미나와 외부세미나 등을 통해 업무와 관련된 지식을 접하기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지식을 쌓는 것보다 중요한 건 습득한 지식을 ‘나의 것’으로 만들고 관리할지에 대한 방법을 찾는 거예요. 한번 배운 것들을 잊지 않고, 어떻게 활용하고 적용할지를 고민하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대학원 졸업논문 주제가 QbD(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에 의한 처방 최적화 연구였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QbD의 개념 등 관련된 질문을 받았어요. 공부한 내용을 최대한 언급하려고 노력했죠. 면접뿐 아니라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도 자신의 배경지식, 실험과 관련된 역량을 최우선으로 전달하는 게 좋아요. 수동적인 자세보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임을 어필하는 것도 중요하죠.
접수기간 | 채용제목 | 경력 |
---|---|---|
채용정보가 없습니다. |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