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하반기 R&D 석/박사

산학장학생 모집

포지션 및 자격요건

<Hardware R&D>

Device Driving Circuit

(디바이스 구동회로)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BS본부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 회로설계)


상세설명 

ㆍComponent(Physical/Mechanical/Chemical/Bio Sensor) 구동 회로 설계

ㆍMedical Device(Ultra Sound, OCT, 분자영상 등) 구동 회로 설계

ㆍDisplay(LCD, PDP, OLED, Projector, E-paper, 3D Display, Flexible, Multi-Vision 등) 구동

   회로 설계

ㆍLighting(LED, LD, OLED, PLS) Source 구동 회로 설계

ㆍAnalog Switching 회로, 카트리지 이송기구/Heater 설계 및 제어, 고성능 Continuous

   Wave 회로 설계 등

ㆍSpeaker의 최적의 구동을 계산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기술, 고음질을 계산하기 위한

   기반 기술

ㆍAudio 회로의 다양한 특성을 검증하는 기술

ㆍ음질의 최적화를 계산하는 기술, 노이즈 저감화를 계산하는 기술

ㆍAMP, 스피커를 포함한 범위에서 종합적으로 고음질, 고효율인 제품 설계

ㆍDynamic load 대응 안정적인 전원설계기술

ㆍPlatform화(모듈화/구조화)를 통한 기술로, Re-Use를 향상시키는 기술

ㆍ제품 연계 보호 Logic 설계 기술

ㆍ외부 ECU 연결 시 진단을 통해서 SET 회로 보호(Diagnostic Trouble


근무지

ㆍ서울, 평택 

Signal sensing &Control Circuit(신호센싱 및 제어회로)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BS본부, H&A본부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 회로설계)


상세설명 

ㆍCMOS 이미지센서, 생체 신호, Wavelength(UV, IR, RF, X-ray), Voltage(Micro, High),
   Current, Frequency, Low Noise Amplifier 등 Sub Micro에서 Macro Signal 의 전기 광학적

   신호에 대한 Sensing, Data 획득 및 응용을 포함하는 기술

ㆍFPGA Board & Function 설계

   (Timing Control, Memory Control, Real Time Control & Algorithm)

ㆍEmbedded Processor(CPU, GPU, DSP)/Controller(MCU) Design, Firmware & Software 설계

ㆍADC, Digital 회로 디자인, Real Time Control Circuit 설계

ㆍComponent 별, 외부 Device 간의 연결 및 내부 Function 간 연결을 위한 다양한 목적의

   Interface 회로 설계

ㆍMicrophone 종류별 Application Design Skill

ㆍAnalog/Digital Broadcasting 회로 디자인, Field Tuning


근무지

ㆍ서울, 평택, 창원 

Power Management(전력제어)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 회로설계)


상세설명 

ㆍEnergy Harvest, Wireless Charge, Power Protection,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Power Module 설계

ㆍDisplay 장치, Device의 소비전력 Estimation & 저감을 위한 Algorithm 및 제어

    System 개발

ㆍLoad의 변동을 예측하고 계산 대응하는 기술, 전원 Ripple, Noise를 제거하는 기술

ㆍ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TX/RX 전력 변환부 설계

ㆍAudio 출력 상승에 따른 적절한 Topology를 사용하여 최대 출력의 Audio Power를 설계

ㆍPower Protection 회로 설계, Power Block 설계, 암전류 관리

ㆍ대용량, 고효율 DC-DC Converter 설계 기술

  - Buck, LDO, Boost, Buck-Boost 등

ㆍ저전력 Analog 회로 설계 기술

ㆍ저전력 System 설계를 위한 Power Management 설계 기술

ㆍBattery Management(Charger, Gauge) 설계 기술

ㆍDC-AC, AC-DC Converter 및 유,무선 전력 전송회로 설계 기술


근무지

ㆍ서울, 평택, 창원 

Computer Architecture(컴퓨터 구조)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 회로설계)


상세설명 

ㆍCPU/GPU IP 비교, configuration exploration을 통한 SoC Product CPU/GPU spec define

   기술

ㆍCPU/GPU System Architecture 설계 기술

ㆍCPU/GPU Performance/Power/Area Target specification 기술

ㆍCPU/GPU Core의 Memory Latency/Bandwidth profiling 및 competitive analysis 기술

ㆍCPU/GPU microarchitecture 분석 기술

ㆍCPU yield 향상을 위한 AVS (Adaptive Voltage Scaling) 기술

ㆍ시제품 (Smartphone등)의 CPU/GPU 성능 분석/비교하여 architecture 및 performance/

   power profile을 도출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SoC Architecture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oC Design(SoC 설계)


상세설명 

ㆍSoC Architecture 설계 및 검증 기술

  - 예 : Core 및 IP Bus, Memory Bandwidth/Allocation, DVFS/AVS 등 RTL Simulation,

     Low Power Verification, Fault Coverage, Emulation, FPGA/Emulation 검증

ㆍSystem 검증 및 설계 기술

  - 예 : System Boot Sequence, System Work Flow 등

  - 예 : 칩 원가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 및 개선 방안 제안


근무지

ㆍ서울 

Inverter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BS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Power Electronics(전력전자)


상세설명 

ㆍ다양한 전원(상용전원 및 배터리 등)을 이용한 에너지 변환 기술

   (HW 설계, 구동 SW, 해석)

  - 모터 구동과 관련된 전력 변환 기술(IPM, IGBT Module, 각종 Topology)

ㆍ계통 연계 및 충방전을 위한 양방향 전력 변환 및 제어 기술

   (계통 관련 규제 및 보호 기술 포함)

ㆍApplication과 관련된 Power Device 응용 기술(방열, PWM, Gate회로, 보호회로 등)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Converter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BS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Power Electronics(전력전자)


상세설명 

ㆍ단상, 3상 전원 응용 AC/DC 변환 기술

  - PFC, PSC, 각종 Topology를 이용한 역률 보상 및 고조파 대응 기술

  - 배터리와 관련된 OBC, 완속/급속/무선 등 충방전기술

ㆍ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저장 장치등을 포함한 에너지 변환 기술(HW, SW)

  - PCS, LED, PLS, ESS, 계통연계 기술, MPPT 제어 등

ㆍSMPS, 무선전력전송 등을 포함한 DC/DC 변환 기술(HW, SW)

ㆍApplication과 관련된 Power Device 응용 기술(방열, PWM, Gate회로, 보호회로 등)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System Application(전력전자 응용)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BS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Power Electronics(전력전자)


상세설명 

ㆍEMI/EMC 등 각종 규제 대응 기술(Harmonics, EMC 등)

ㆍ수명 등과 관련된 신뢰성 설계 및 평가 기술

ㆍ방열, Coating, 제품 연계 보호 Logic 설계 기술

ㆍInverter, Converter 등과 연관되어 Capacitor 저감, THD 저감, 손실 저감 등을 위한

   제어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otor Control(모터제어)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직무구분

ㆍPower Electronics(전력전자)


상세설명 

ㆍ회전기기(모터 및 발전기 포함, 유도기/BLDC/PMSM 등)의 구동 및 동작과 관련된 제어

   (벡터 제어, 속도제어, 위치제어, Sensored/Sensorless, 약계자, 최적각 제어 등)

ㆍ제품 Application과 관련된 Algorithm 개발 및 제어

   (토크제어, 세탁 패턴 제어, 소음/진동 저감 등)

ㆍ모터 제어 관련 해석 및 Simulation


근무지

ㆍ서울, 창원 

고속/고성능 데이터컨퍼터(ADC/DAC회로)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회로설계)


상세설명 

ㆍTV용 Analog Front End IP 설계 기술 (Pipeline ADC)

  - CVBS, 3CH, AAD, DMD 등

ㆍ통신용 Analog Front End IP 설계 기술 (고속 SAR ADC, DAC)

  - WiFi/BT/무선전송용 ADC/DAC 등

ㆍ센서용 Data Converter 설계 기술 (Sigma-Delta ADC, 고성능 SAR ADC)

  - Touch/지문인식/온도센싱/배터리센서/무선충전용 ADC/DAC 등

ㆍ오디오용 Data Converter 설계 기술 (Sigma-Delta ADC/DAC)

  - 음성인식용Mic ADC/Headphone, Speaker용 DAC 등


근무지

ㆍ서울

고속 인터페이스(SerDes 회로)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nalog & Digital Circuit Design(아날로그/디지털회로설계)


상세설명 

ㆍExternal (Box to Box)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 HDMI, DisplayPort, USB, Ethernet 등

ㆍMobile용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 MIPI, eDP, MyDP, MHL 등

ㆍDisplay Panel용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 Vx1, EPI, LVDS, Custom Interface 등

ㆍMemory 인터페이스 설계 기술

  - DDR, LPDDR, SATA 등

ㆍClock 생성 회로 설계 기술 및 시스템 내 Clocking Scheme 구축 기술

  - PLL, DLL, DCO, 주파수 합성기 및 clocking scheme 등


근무지

ㆍ서울

Physical 설계/검증 및패키지/보드 개발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oC Implementation


상세설명 

ㆍ시스템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Physical(RTL2GDSII) 및 ultiphysics(SI/PI/Thermal/RFI/EMI/

   ESD) 요소 기술 개발

ㆍ반도체/패키지/보드 제조 공정 분석 및 선정, 라이브러리 선정 및 최적화, 신뢰성 분석

   및 대응 설계

ㆍ공정/제품별 Logic/Physical 설계 요소 기술 개발 및 설계 flow 구축

ㆍ분야별(Timing, IR/EM, DRC/LVS/ERC, ESD) 최종 Sign-off 기법 개발 및 정책 수립

ㆍSoC 검증 보드, RF보드 및 안테나 개발

ㆍSoC 보드 신뢰성(EMI/ESD 및 발열), 양산성 확보

ㆍ다양한 Application 시스템 솔루션 개발(TV/가전/자동차/Pwesonal Device 등)


근무지

ㆍ서울

영상처리IP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oC IP Design


상세설명 

ㆍ영상 디스플레이 서브 시스템 IP 설계

  - Display Subsystem Architecture design, Bandwidth/Gate Count Estimation

  - Video Input interface, Display interface, DDR interface

  - Video/Graphics fame buffer compression (Lossless compression, Visually lossless

    compression)

  - On-Screen-Display(OSD) Engine

ㆍ화질 개선 알고리즘 개발 및 IP 설계

  - Noise Reduction, De-Interlacer, Scaling

  - Sharpness, Color, Contrast, Brightness Enhancement

  - Frame Rate Converter(Motion Estimation/Motion Compensation)

ㆍAI 화질 개선 알고리즘 개발 및 IP 설계

  - Super Resolution,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based image enhancement

ㆍLCD/OLED 패널 특화 화질 IP 개발

  - High Dynamic Range, Wide Color Gamut, Low-Gradation Noise Reduction, Image 

    Sticking Reduction

  - LED Local Dimming

ㆍ카메라 서브 시스템 IP 설계

  - Camera Subsystem Architecture design, Bandwidth/Gate Count Estimation

  - MIPI-CSI Controller, Camera sensor interface, DDR interface

ㆍ카메라 센서 영상처리 알고리즘 및 IP 개발

  - Camera-Sensor-Specific image signal processing, HDR sensor processing

  - Bayer to RGB conversion, Bayer Noise reduction, Bad Pixel Correction, Lens Distortion

    Compensation

ㆍImage Sensor 대응 SW 알고리즘 개발

  - Auto Exposure, Auto White Balance, Auto Focus

ㆍVideo Interface 기술 이해와 활용

  - HDMI Rx/Tx, MHL Rx, Vx1 Rx/Tx, LVDS Rx/Tx, DP Rx, EPI Rx/Tx


근무지

ㆍ서울

인공지능IP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oC IP Design


상세설명 

ㆍ딥러닝 네트웍 이해와 활용

ㆍDeep Learning 경량화

  - Quantization (Post training quantization, Quality Aware Traning)

  - Lite Weight Models, Low-bit quantization

  - Pruning (Structured/Unstructured)

  - Sparse Networks, knowledge distillation

ㆍNeural Processor IP 설계 & 검증

ㆍProcessor 활용

  - RISC-V, arm cpu, cache, memory hierarchy

  - SIMD, VLIW

  - ISA : RV32, x86, aarch64, ISA extensions

  - gpu, dsp, vector processor

ㆍ네트워크 Converter 설계

  - Network Compiler & Scheduling: BW & Performance 확보 위한 Compiler 최적화

    알고리즘


근무지

ㆍ서울

비디오코덱IP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oC IP Design


상세설명 

ㆍ비디오 코덱 표준 이해 - MPEG / AOM / JPEG / VESA 표준 이해 

ㆍ비디오 코덱 IP Architecture 

  - 비디오 코덱 IP Pipeline 구성 이해 

  - 비디오 코덱 주요 Pipeline 세부 Architecutre 개발 

  - 비디오 코덱 Memory BW 및 BSP 최적화 Architecture 

  - 비디오 코덱 IP 성능 최적화 위한 설계 기술

ㆍ비디오 코덱 IP 설계 

  - Verilog / Sys-Verilog 활용한 비디오 코덱 IP 구현 

  - 설계한 IP의 Physical 구현 결과 (Area/Timing/Congestion) 이해 및 개선

ㆍ비디오 코덱 IP 검증 

  - 비디오 코덱 IP 검증 방법론 이해 

  - 비디오 코덱 IP 검증 Test-Case 정의 및 분석

  - 비디오 코덱 IP 성능 분석 및 평가

  - 비디오 코덱 사용 시나리오 이해 및 분석

ㆍ비디오 코덱 알고리즘 개발 

  - 비디오 코덱 인코더 IP를 위한 알고리즘 최적화 기술 

  - 비디오 인코더 화질 차별화를 위한 전처리/후처리 기술 이해 

  - Frame Buffer 알고리즘 개발 및 기술 이해


근무지

ㆍ서울




<IT/Communication R&D>

P5G 모뎀개발

모집본부/부문

ㆍBS본부 


직무구분

ㆍP5G


상세설명 

ㆍ5G Modem 제품에 적용되는 HW 개발

  - RF Front-end 설계

  - Baseband application 설계

  - Mobile Power 설계

  - RF 규격 취득

  - 4G/5G 관련 PCB 설계


근무지

ㆍ서울, 평택

Communication Standard(5G/6G) & Connected car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ignal Processing


상세설명 

ㆍ5G, 6G, Connected Car, IoT (Wi-Fi, Bluetooth, Matter 등) 분야의 표준 기술 및

   원천기술 개발

  - Physical layer standard: basic TX/RX, multi-antenna, channel coding, physical layer

    procedure, system performance analysis(link-level & system-level analysis/simulation)

  - Radio protocol standard: Lower L2 protocol (MAC), Upper L2 protocol (RLC, PDCP, SDAP),

    L3 protocol (RRC), Idle/Inactive procedure

  - Radio performance standard: RF/RRM/Demodulation techniques, system performance

    analys is by link level and/or system level simulation

  - Service standard: New service scenarios/use case, Service requirements, Performance

    requirements

  - Network standard: System architecture, Core Network protocol, Radio access network

    protocol

  - Terminal/NAS standard: Terminal architecture, NAS protocol, Network selection and

    access technology

  - Security standard: Security system architecture, Security protocol

    (authentication/authorization), SIM authentication and protocol

  - TeraHertz High-speed transmission technologies & frontend/antenna design

  - 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 based radio transmission technologies

  - Intelligent reflection surface based radio transmission technologies

  - Quantum key distribution(QKD) & Post-quantum cryptography(PQC) based secure

    transmission technologies

  - Joint Communication and Sensing

  - ITS standard: Use case, requirements, system architecture, message formats, and 

    protocols for V2X applications


근무지

ㆍ서울

Media Technology Standard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ignal Processing


상세설명 

ㆍXR, Vodeo Codec, DVB 등 방송 미디어 분야의 표준 기술 및 원천기술 개발

  - XR Standard : LiDAR processing, Point Cloud, 3D Mesh, AR/VR, 3D (Light Field, Hologram)

    Data Processing

  - Video Coding Standard: VVC/H.266, Video Codec, Neural-Net based Video Coding, 

    Video Quality Enhancement, Codec SW Optimization

  - Machine Vision: Object Detection/Segmentation/Tracking, VCM(Video Coding for Machine),

    Feature Extraction/Handling

  - Media System/Application Standard : MPEG DASH, IP Multicast


근무지

ㆍ서울 




<Mechanical R&D>

 Dynamic Analysis &Desig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Structural Dynamics


상세설명 

ㆍSystem의 동적 거동 및 기구의 동작 신뢰성 향상을 위한 설계 기술

  - Mechanism 해석 및 설계, Rigid & Flexible 동역학 해석을 통하여 시스템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여 신뢰성 개선설계 방향을 제시

  - 컴프 구조 해석/설계 및 신뢰성 설계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echanism Desig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Mechatronics


상세설명 

ㆍMechanism 설계 기술과 System 이해도를 바탕으로 Mechatronics에 필요한 동력 전달

   장치 및 Motion 기반의 구조를 설계하며, 전문 해석 Tool 및 장비를 활용하여

   Mechanism을 분석, 개선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Structure Optimiz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Mechanical CAE


상세설명 

ㆍ최적화 기법(DOE, Gradient, Gentic)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용 SW를 활용하여 

   공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CFD-Thermal Analysis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VS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Mechanical CAE


상세설명 

ㆍ열전달(전도, 대류, 복사) 원리를 이해하고 상용 SW를 활용하여 공학적 현상을 

   구현하고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역량/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Noise & Vibr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Noise & Vibration


상세설명 

ㆍ고객이 인지하는 진동과 소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제품에 대한 부품별 민감도 평가,

    Quality Evaluation 등을 통해 고객 위주의 진동, 소음 개선 Solution을 제공 하는 기술

ㆍ실험과 해석 등을 통해 제품 진동과 원인 부품을 평가/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여 최적 Solutio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System Integr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Structural Dynamics


상세설명 

ㆍSystem의 기본 요구조건 및 기본 성능 향상을 위한 기구설계 및 System 설계 기술

  - 3D CAD Tool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및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스템의 성능 및 구조 최적화 설계 제시

ㆍ광기구 설계 및 개발

   (Static/Dynamic Structural CAE, 2D/3D CAD, Material(Metal/Plastic 등) Engineering, 

    Tolerance Design, Production Design)

ㆍ사용자가 제품 설치를 쉽게할 수 있도록 User Interface 설계

ㆍ구조/역학적인 부분, 기구/HW부품 신뢰성, 생산성/조립성을 고려한 최적 Layout,

   부품 배치, 구조설계

ㆍ제품의 방수/침수를 위한 구조 및 부품을 설계하는 역량

ㆍ소재 특성, 가공방법을 이해하여 최적의 소재를 선정, 발굴하고 설계에 적용 및 제품화       (Material Application : Metal, Real(Feel) Material, Glass, Polymer/Elastomer)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열역학 응용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직무구분

ㆍThermal Dynamics


상세설명 

ㆍ환경 변화에 대응한 Advanced 증기압축 Cycle기술(Refrigerants, Exergy Analysis,

    Multi PressureSystem, Absorption System)

  - 터보 증기 압축 사이클 기술(Multi Pressure System) 및 터보기계 기술

  - 고급 흡수식 사이클 (저온수 2단, 히트펌프)

ㆍ고속, 고정밀 Thermal Cycle 온도 제어 및 시스템 구현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냉동 사이클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직무구분

ㆍThermal Dynamics


상세설명 

ㆍ냉장고 및 에어컨용 냉동 사이클 설계와 그 부품 설계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공기조화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직무구분

ㆍThermal Dynamics


상세설명 

ㆍ실내의 온도, 습도, 환기, 기류 및 청정(淸淨) 등을 동시설계하며 이를 위한 부하,

   열원기기, 냉난방설비 등의 설계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EV 기구개발

모집본부/부문

ㆍBS본부


직무구분

ㆍEV충전


상세설명 

ㆍEV충전기 기구개발

  - EV충전기 디스펜서 / 파워뱅크 및 소형물 기구 개발

  - 옥외 환경 설치 방열 구조 설계


근무지

ㆍ서울, 평택 

자동차 진동/소음CAE 해석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직무구분

ㆍMechanical CAE


상세설명 

ㆍ소음 진동 (NVH) 분야 해석 및 실험

  - 자사 전장 제품의 구조 진동/소음 CAE 해석 및 기법 개발

  - 구조 모달 테스트, 진동 / 소음 실험 평가 분석 및 기법 개발

  - BSR (Buzz, Squeak, Rattle) 소음 해석 및 실험


근무지

ㆍ서울 




<Material R&D>

LED 소재개발

모집본부/부문

ㆍBS본부 


직무구분

ㆍMicro/Mini LED


상세설명 

ㆍMicro/Mini LED 

  - Opto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 

  - Epi. /Chip/Package

  - RGB Module / CSP / COB 

  - Nano LED and pixel level Chip Package 

  - Die-bonding / Back matrix 

  - Adhesive Material (Si / Acryl / Eoxy) 

  - Reproducible Re-work


근무지

ㆍ서울, 평택 

Optic System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Material/Device


상세설명 

ㆍ헤드램프, HUD, BLU 등 개발

ㆍLED 광원배치 및 광학시트 조합 최적화


근무지

ㆍ서울 




<Production R&D>

레이저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공법/장비


상세설명 

ㆍ공정수 저감/최적화 등 유연한 제품 생산/제조 기술로, 커팅/드릴링/접합/표면처리의 

   4대 분야 레이저 시스템 통합


근무지

ㆍ평택 

전지 패키지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공법/장비


상세설명 

ㆍ반제품 셀(적층셀)의 전극 웰딩, 파우치 실링, 그리고 전해액을 주액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셀을 생산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용접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기술


상세설명 

ㆍ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회로/실장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기술


상세설명 

ㆍ제품의 회로부를 대상으로 실장설계/해석 기술, 실장 공법 기술, 전자파제어 기술 등을 

   구사하여 소형, 박형, 고성능, Low Cost화를 구현 가능케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가상제품개발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제조혁신


상세설명 

ㆍ제품의 최종 실물검증 단계를 사전에 가상 환경에서 평가함으로써, R&D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조기에 확보하여 개발일정을 단축하고자 하는 Digital Twin

   기술 및 이를 적용한 일련의 프로세스 


근무지

ㆍ평택 

생산시스템 운영 최적화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시스템


상세설명 

ㆍ생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수 있도록 계획/통제/관리하는 방법

   (생산계획, 재고관리, 자재관리, 진도관리 등)을 최적화하는 활동


근무지

ㆍ평택 

레이저광학설계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광학설계


상세설명 

ㆍ레이저를 광원으로 가공, 용접, 검사, Beam Shaping 등의 응용 분야에 대해서 

   요구 사양에 맞게 레이저 광학계를 설계, 분석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시뮬레이션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시스템


상세설명 

ㆍ물류 / 레이아웃 설계안에 대해 시뮬레이션 Tool (PRISM)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사전 검증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전력제어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회로/실장


상세설명 

ㆍ대전력 / 고효율 전력 변환기를 설계 / 제어 / 분석 하는 기술

  - 전력변환기 H/W 설계 : 어플리케이션에 맞게 다양한 전원 간(DC/DC, AC/DC, DC/AC) 

                                      변환 회로를 설계하는 기술

  - 전력변환기 제어 : 다양한 제어기법을 통해 전력변환기 제어 알고리즘 구현 기술

                              (모터 제어, 계통연계 인버터 제어, 컨버터 제어), 제어기 H/W 설계

                              기술, 복수의 전력변환기에 대한 시퀀스 운전 및 제어 기술


근무지

ㆍ평택 

기구설계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기구


상세설명 

ㆍ원하는 목적을 가진 구조물이나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목적에 부합하는 여러 부품들을 선정하고 적절히 조합하는 일련의 모든

   활동으로 자동화 장비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 기술


근무지

ㆍ평택 

PC제어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제어


상세설명 

ㆍ생산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PLC제어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제어


상세설명 

ㆍ장비의 전장설계 및 PC/PLC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자동화장비의 제어 및 알고리즘 

   구현 기술


근무지

ㆍ평택 

UMAC제어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제어


상세설명 

ㆍUMAC을 이용해 장비의 제어 설계 및 설계 기반한 구동 시퀀스 및 동작 알고리즘 

   SW 개발하여 장비를 제어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재료 Mixing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공법/장비


상세설명 

ㆍ재료의 믹싱에 의한 특성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위한 기구 설계 / 공정 설계를 통한

   원하는 믹싱 결과를 구현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본딩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공법/장비


상세설명 

ㆍ제품을 합착이나 코팅을 위한 접착제나 기타 재료를 공급 또는 방출하는 기술

ㆍbonding 매개체(ACF, epoxy 등)와 열원(Hot bar, UV, 초음파 등)을 활용하여 자재간 

   접합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로봇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공법/장비


상세설명 

ㆍ주어진 작업 구현에 필요하기 위한 툴을 구성하고, 필요한 기능 구현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음

ㆍ로봇기술들을 모듈화/표준화하여 레고처럼 조립/운영이 가능한 RPS

   (Robotic Prodcution System)를 구성할 수 있음

ㆍ기존 전용 자동화 장비와는 다르게 로봇을 활용하여 유연성과 재활용성을 높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음

ㆍAI/ML 및 비젼을 활용하여 기존에 못했던 공정을 구현하고 로봇 시스템을 보다 쉽게

   사용/운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음


근무지

ㆍ평택 

금형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기술


상세설명 

ㆍ금형(Die & mold)를 사용하여 재료의 소성 또는 전연성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


근무지

ㆍ평택 

표면처리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생산기술


상세설명 

ㆍ제품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용 부품을 최적화 하기 위한 원소재의 조성 또는 

   부품 형상을 변형하거나 가공하는 공정


근무지

ㆍ평택 

C4

모집본부/부문

ㆍ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제조혁신


상세설명 

ㆍ컴퓨터를 활용한 Design(CAD), 제품개발/해석(CAE), Digital Data 활용한 가공 (CAM) 및

   시험의 Digital화/자동화(CAT) 영역을 통칭하는 기술용어로써, Digital Twin을 위한

   핵심기술


근무지

ㆍ평택 




<Software R&D>

Deep Learning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CNN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한 특징 추상화 기술

ㆍRNN : Recurrent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순차정보 인식기술

            (Long Short Term Memory, LSTM 포함)

ㆍ딥러닝 설계 : 데이터베이스 분석, 딥러닝 모델 설계 및 모델 최적화 기술

ㆍComputation 난제를 AI기술로 극복하는 Compuitational Image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achine Learning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휴먼인지 : 카메라와 각종 센서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학습하여 얼굴, 머리/시선

                   방향, 동작 등 사람을 이해하는 기술

ㆍ사물인지 : 카메라와 각종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학습하여 사물과 환경을

                  이해하는 기술

ㆍSelf Learning : 온라인 러닝, 액티브 러닝, 강화학습과 같이 스스로 학습하여 규칙을

                       발견하고 인식, 분류, 예측, 추천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Context Awaremess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Device 내부의 환경, 데이터 수집, 패턴 분석 등을 통해 context Awareness 데이터를

   제공하고, Personalize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데이터 프로세싱/분석(신호처리)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신호와 잡음이 혼합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 기술

ㆍ단수 혹은 복수의 센서로 획득된 데이터 혹은 통계적으로 집계된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잡음제거/특징추출/불량검출/분류/이상감지/복원/예측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수리최적화/휴리스틱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CDO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다양한 의사결정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계량적이고 체계적인 수리적 모델링 및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Computer Vis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상세설명 

ㆍImage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tracking 등 DNN 모델을 활용하여 Image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DNN모델을 개발하고 학습시킬 수 있는 기술

ㆍ영상 내의 특징점을 추출 분석하여 사물을 검출/인식/분류 하거나 장면 및 상황을

   판단하는 영상 이해 기술

ㆍ사물 검출 및 인식에 필요한 영상내 고유 특징점을 추출 및 표현하고 응용 분야에

   적용하는 기술

ㆍ영상 내 특징점을 이용해 패턴매칭에 기반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는 기술

ㆍ비전 시스템에 적합한 특징 추출과 해석 기법의 구현 및 최적화 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평택, 창원 

Automotive VisionSystem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상세설명 

ㆍ카메라 등의 센서 시그널을 기반으로 제스처, Driver, Passenger, object등을 인지,

   트랙킹할 수 있는 기술

ㆍVision algorithm을 위한 Model을 실제 Embedded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SW 설계

   및 최적화

ㆍ비전 알고리즘이 개발에 근간이 되는Framework을 제공하여 알고리즘 개발의 근간이

   되는 기술

ㆍ알고리즘 module 및 Service를 통합하여 System을 구동하는 안정적인 SW 확보 기술


근무지

ㆍ서울, 평택, 창원

Image & Video Codec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직무구분

ㆍ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상세설명 

ㆍImage & Video Compression

ㆍImage & Video Frame Compression for Interface, Transmission and internal buffer

ㆍImage & Video Format Standard

ㆍAnalog Video Codec

ㆍMulti-Format Video Encoder & Decoder IP 개발

ㆍVideo Processor IP 개발

ㆍSoftware 코덱 IP 개발

ㆍMultimedia Firmware 설계 기술


근무지

ㆍ서울

Picture Quality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상세설명 

ㆍCapturing & Rendering of 360 Video and VR(Virual Reality) Image

ㆍSuper Resolution Algorithm for Video & On Screen Display

   (Video 및 OSD영상의 해상도 증대 알고리즘)

ㆍPicture Engine Algorithm Development & IP Design (화질 엔진 알고리즘 개발 및 IP설계)

ㆍPictcure Enhancement IP Development for High-quality Display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대응 화질 개선 IP 개발 )

ㆍOLED-oriented Picture Engine IP Technology (OLED 특화 화질 Engine IP 개발 )

ㆍImage Processing IP for Image Sensor (Image Sensor 영상신호 처리 IP 개발)

ㆍComputational Photography

ㆍHardware & Software IP Development for Picture Quality Enhancement


근무지

ㆍ서울, 평택

음성전처리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Audio & speech separation

ㆍAcoustic Event Detection & classification

ㆍAudio transcriptio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음성인식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Conformer 기반 End-to-end 음성인식 기술 (음향모델링, 언어모델링, 디코더)

ㆍAudio/speech representation 모델링을 위한 self-supervised learning(SSL) 기술

ㆍSSL 모델 기반 task 개발 (화자인식, Spoken Language Understanding, 감정인식)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음성합성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Non auto-regressive model based speech synthesis

ㆍGenerative AI (Audio language model, Diffusion) based speech generation

ㆍSpeaker Generation


근무지

ㆍ서울, 창원

자연어처리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LLM modeling and fine-tunning for a downstream task

ㆍLLM based chatbot, Q&A

ㆍLLM based cross-lingual/multi-lingual generation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Audio 음질/음장기술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음성/오디오 코덱 표준 이해

  - MPEG / Dolby / DTS / AMR-WB 등 표준 이해

ㆍEmbedded DSP programming

  - Xtensa, Hexagon, Kalimba, ARM-Neon 등 여러 audio DSP의 intrinsic 활용 & 최적화

ㆍAudio System Impelemtation

  - Xtensa, Hexagon, Kalimba, ARM-Neon 등 여러 audio DSP의 intrinsic 활용 & 최적화

  - Audio subsystem을 위한 DSP / Peripheral HDL 설계

ㆍ오디오 후처리 알고리즘 개발

  - Virtual Surround, Room Acoustics Control, Dynamics Control

  - Channel upmixer, Sample rate control, Digital Filter

  - Wave Field Synthesis, Speaker Array, Mic Array

ㆍ음성 전처리 / 소음 제어 알고리즘 개발

  - Echo canceller, Noise Reduction, Beam Former

  - Active Noise Cancellation

ㆍAI 음질 개선 알고리즘 개발

  - Audio scene/object classification, Upmixer, Voice/Object Separation, Noise Reduction

ㆍAcoustics

  - 스피커 시스템 설계 및 품질 향상, 음향 튜닝 & 보정 기술


근무지

ㆍ서울

Audio Codec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Speech & Audio Processing


상세설명 

ㆍAudio/Speech Encoder/Decoder 기술 개발

ㆍImplementation(PES decoder, A/V Lipsync 등)


근무지

ㆍ서울

Semantic Search &Recommend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Data Intelligence


상세설명 

ㆍ상황에 맞는 인텔리전트하고 개인화된 컨텐트/서비스/Acitivity 추천을 수행하는

   엔진 개발

ㆍ시멘틱 질의 확장을 통한 보다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는 추천/검색 결과 제공

ㆍ에너지 데이터(사용량, 발전량, 가격 등)를 기반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석/추천/제어하는 알고리즘 개발

ㆍ다양한 기기와 센서가 사용자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기 사이에 상호 정보

   교환에 의해 자동적으로 사용자에 맞춤형으로 기기들을 제어 하는 서비스 개발

ㆍ검색 관련 응용 모듈(Framework 등) 설계 및 구현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User Behavior Analysis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CDO


직무구분

ㆍData Intelligence


상세설명 

ㆍ사용자의 Digital Footprint(구매 이력, 웹/검색 히스토리, 단말 사용내역 등)를 분석하여

   개인별 프로파일 및 행동예측 모델 개발

ㆍ행동 예측 모델에 기반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를 통해 인텔리전스한 개인화 서비스 제공

   에너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가전 기기의 사용 패턴과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기술/서비스 개발

ㆍ단말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거점과 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기반하여 선호 정보와 

   행위를 인지하여 사용자 프로파일링 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Big Data Analysis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Data Intelligence


상세설명 

ㆍ빅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에 대한 다면적인 분석을 수행

ㆍ분산 환경을 통한 빅 데이터 저장 및 병렬 프로세싱을 통한 효율적인 분석 처리

ㆍ대용량의 다양한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상태를 판단하여 맞춤형 질환관리 조언

   생성하는 기술

ㆍ대용량의 다양한 사용자 행태 로그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판단하여 개인 맞춤형 추천을 생성하는 기술

ㆍ대용량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분석 처리

ㆍ정형/반정형/비정형의 빅 데이터를 저장/분석 가능한 플랫폼을 설계/구축하고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솔루션(Hadoop, NoSQL)을 특성에 맞게 적용하며, 데이터 처리 방법

   (Map-Reduce, Mahout 등)을 활용/구현하여 유의미한 정보, 지식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Data Governance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BS본부,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Data Intelligence


상세설명 

ㆍ전사 데이터 거버넌스 프로세스 운영을 통해 신규 데이터 “기획 - 개발 반영 - 품질 검증”,

   제품 출시 후 데이터 “수집 - 저장관리 - 활용 - 폐기" 관리

ㆍ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 카탈로그(데이터 항목/속성/분류체계) 작성을 하고,

   데이터의 정확성/일관성/유용성 등 품질을 관리

ㆍ데이터 저장소 및 유통 허브인 Data Lake(데이터 제공 창구인 데이터 포털 포함)을

   기획하고 서비스를 운영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데이터처리(시계열)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BS본부, CTO,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Data Intelligence


상세설명 

ㆍ시간 흐름에 따른 축적 데이터의 추이를 기반으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사용자 인지기술(터치/동작/얼굴표정 등)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Human Computer Interaction


상세설명 

ㆍMotion 센서(자이로, 지가기 등), 카메라 등을 활용한 Device 모션 인식

ㆍ카메라/초음파 센서 등을 활용한 휴먼/관절 추적과 공간 제스처 인식

ㆍ터치같은 Surface 상의 Hand/Finger 움직임 인식과 제스처 인식

ㆍ펜/제스처 입력에 따른 문자 인식

ㆍ얼굴 인식과 얼굴 표정 인식

ㆍ영상과 음성 입력 결합한 Multimodal로 휴먼 인지 기술

ㆍ영상, 음성, User History 기반 감정 인지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I/O Sensor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VS본부, CTO


직무구분

ㆍHuman Computer Interaction


상세설명 

ㆍ카메라, 위치 정보 등에 기반한 증강 현실 기술

ㆍI/O 센서를 활용한 UI 또는 Application 개발 기술

ㆍI/O 센서 Fusion 을 통한 UI 또는 Application 개발 기술

ㆍNew I/O 센서Design, Prototyping H61 및 개발 기술

ㆍHaptic : Actuator, 초음파 센서 등을 활용한 촉감 Feedback 기술


근무지

ㆍ서울 

Contect Awareness Technology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CTO


직무구분

ㆍHuman Computer Interaction


상세설명 

ㆍLow Level Context로부터 사용자의 유형을 인지하는 User Modeling 기술

ㆍ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Context Classification 기술

ㆍ인지하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Context Modeling 기술

ㆍ각종 센서, GPS, Connectivity, Web, Cloud 등 데이터의 취득 및 전처리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Biometric AI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I Application


상세설명 

ㆍ생체 인식 기술 차별화를 위한 인공지능 기법 적용 및 개발할 수 있는 역량


근무지

ㆍ서울

Robotics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CTO,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AI Application


상세설명 

ㆍ외부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Cognition)하여 자율적으로

   동작(Manipulation)하는 지능형로봇구현 기술역량

ㆍ물건을 잡고 핸들링하는 조작제어 기술

ㆍ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한 자율이동 기술

ㆍ미리 학습한 지식정보를 바탕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기술

ㆍ기계가 공간지각능력을 갖게하기 위한 위치인식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anufacturing AI Solution

모집본부/부문

ㆍCTO, 생산기술원, CDO


직무구분

ㆍAI Application


상세설명 

ㆍ설비운영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가시화하여 설비의 성능을 눈으로 보는

   관리하도록 설계하는 역량

ㆍ축적된 데이터나 설비 운영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여 설비

   스스로 이상 상황을 알려주고 정비시점을 알려주며 나아가 스스로 설비 운전 조건을

   조정하여 일정 품질/가동율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역량

ㆍ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분석하고, 머신러닝,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AI 모형을 개발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평택 

진동/음향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CTO,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AI Application


상세설명 

ㆍ진동/음향 데이터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컴퓨터응용설계/가공

(CAD/CAM)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생산기술원


직무구분

ㆍAI Application


상세설명 

ㆍ컴퓨터를 이용해 제품설계와 검토를 하고, 그 설계된 데이터를 토대로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제품을 가공/생산하며 가상으로 제품을 Testing하고 분석하는 역량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멀티미디어 재생/관리, 방송 시청 등의 기능 구현을 포함한 다양한 Media 응용 관련

   Application 개발

ㆍContents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암호화 된 Media File들을 정당한 License

   획득 후 복호화 하여 재생

ㆍBlu-ray, DVD, Solid state memory 등 다양한 미디어의 재생, 규격(file system 등) 관련

   기능 구현 및 유지보수

ㆍVideo/Audio Codec과 그에 상응하는 Container조합에 일치하는 파일을 적절히

   재생시키는 기술

ㆍSmart Phone과 네비게이션 간의 AHA Radio 연동

ㆍ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pp 기술 지원


근무지

ㆍ서울

Database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CD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범용 데이터베이스 및 대용량/비정형 Data를 가공/분석/활용하는 것과 관련한

   Application 설계 및 개발 기술, 데이터베이스 운용 기술

ㆍDatabase Table 설계, Index 구성 및 SQL Query 최적화 능력

ㆍEmbedded Database (DB8) 사용 최적화 및 문제 해결 (Transaction, Index 관리 등)


근무지

ㆍ서울, 창원

Network/Connectivity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유무선 네트워크 연결 기술, 자동 기기/서비스 인식 기술, 상호 호환(Inter-Operability)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 기술

ㆍ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간 컨텐츠/서비스 공유 및 전송을 위한 응용 SW기술

ㆍWireless Coverage를 확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기술

ㆍCable Modem, 방송 분야 응용 SW 기술

ㆍ댁 내 네트워크에서 스피커 간 오디오를 공유하는 기술

ㆍSW개발을 위한 Infra System 기획/구축/운영 방법

ㆍSystem 개발을 위한 Web/DB/Server Programming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Web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Web 기반 Application 개발(예 : HTML5 기반 Application 개발 기술 등)

ㆍWeb 표준 기술(HTML/CSS/Javascript)에 대한 이해와 최적화 능력

ㆍJavascript Web App Framework(Enyo, jQuery, AngularJS 등) 활용 능력

ㆍSW 개발을 위한 Infra System 기획/구축/운영 방법

ㆍSystem 개발을 위한 Web/DB/Server Programming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OS 응용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다양한 OS ( Android, Linux, Windows, iOS, RTOS 등)에서 동작하는 범용 어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서비스 개발

ㆍH/W, OS와 사용자 간의 Interface를 제공하는 User Interface 설계, 구현 능력

ㆍH/W, OS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iOS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VS본부, BS본부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Objective-c / Swift 언어 및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패턴에 대한 이해

ㆍMVVM/MVC 패턴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SW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하는

   능력

ㆍiOS 의 UI 요소, 사용자 인터페이스 와 Architecture 요소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ㆍApp store 의 정책을 이해하고 배포하며 Firebase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Android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Java / Kotlin 언어 및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패턴에 대한 이해

ㆍAndroid 앱의 Lifecycle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

ㆍAndroid 의 UI 요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Architecture 요소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ㆍGoogle play의 정책을 이해하고 배포하며 Firebase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Multimedia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설계 및 응용

  - SW 플랫폼 : Android, webOS, NetCast, Linux, WebKit 등

  - HW 플랫폼 : ARM, DSP, GPU 등

  - HW 모듈 : Camera, Display, Audio 등

ㆍCross-플랫폼 API 설계 및 응용

  - OpenMax, GStreamer 등

  - OpenGL, OpenCV, OpenCL 등

ㆍ요소기술 : 카메라,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스

  - Player, Recorder, Parser

  - Audio Codec, Video Codec

  - Image Quality

  - Signal Processing, Image Processing, Vision Processing

  - Graphics Engine

  - HW 모듈 (Camera, Display, Audio)의 이해


근무지

ㆍ서울, 평택 

Graphics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GPU 드라이버, OpenGL, EGL 등의 표준 graphic stack 에 대한 관리, 유지 보수 및 

   extension 구현

  - GPU vendor에서 제공되는 DDK에 대한 이해 및 문제 해결 능력

ㆍGPU, GFX 등의 graphic hardware 가속을 활용한 렌더링 성능 향상 기술

  - GFX, OpenGL 렌더링 API에 대한 이해와 활용

ㆍX11, Wayland 등의 multi-window graphics system 기술

  - Graphic system protocol 분석 및 확장 능력

ㆍGraphic widget (Qt, GTK, microwindow)에 대한 이해와 활용

  - Window, event handling 등 공통 영역에 대한 이해

ㆍRendering 성능 측정 및 개선을 위한 profiling 기법

  - Frame rate 측정 및 구간별 profiling

  - Rendering defect 검증 및 개선


근무지

ㆍ서울 

Security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단말, 네트워크, 서버 등 다양한 Layer에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보안

   관련 기술 개발 및 통합 시스템 설계/구현

ㆍ보안에 민감한 서비스(유료 컨텐츠 서비스, 금융 서비스 등)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 설계 및 관련 기술(DRM, 사용자 인증, OPT 등) 개발

ㆍ보안이 필요한 자료를 안전하게 관리/공유/사용할 수 있는 기술

   (암호화, Hash, MAC, 키관리 등) 개발


근무지

ㆍ서울 

Web Engine 기술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최신 Web 요소 기술의 발굴 및 연구

  - HTML5, Java Script, Web Core, Web Runtime, Web Graphics, Web App Framework

ㆍWeb 플랫폼 및 어플리케이션 연구

  - Web Browser, Web Platform, Web OS 및 Web Programming


근무지

ㆍ서울, 평택 

Network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네트워크 연결성을 확보/유지하고 다양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하는 SW 모듈(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디스커버리, 스트리밍, 미디어 & 

   데이터 공유, P2P 연결, 웹 표준 지원, 네트워크 데몬 & 서버, 클라우드 연동 &

   원격 접속, 디바이스 관리 & 제어)

ㆍEasy Connection을 위한 Device Discovery 및 Connection 유지를 위한 API 제공

ㆍWi-Fi와 3G를 통한 Seamless Connection을 위한 Connection Manager 개발

ㆍApple MFi 프로토콜 응용

ㆍPandora/Aha Application 연동

ㆍ차량 네트워크용

  - 차량 OEM 및 차량 부품 Community 표준을 따르는 SW모듈

  - CAN/LIN/FlexRay/Ethernet 통신 지원

  - ISO 26262 ASIL 지원(적용 ECU의 안정성 레벨)

  - AUTOSAR/GENNI/MOST 요구 사양 지원

  - 차세대 고속 차량 Network 신규 기술 적용

  - 차량 진단/SW Reprogramming

  - Air를 통한 단일 ECU SW Update 및 다른 ECU에 SW Update 하는 기술

    (Remote Reflash, FOTA)

ㆍGNSS와 DR을 이용한 위치 SW 설계 기술


근무지

ㆍ서울, 평택 

BSP/Device Driver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직무구분

ㆍSystem SW


상세설명 

ㆍOS Kernel 소스에 대한 SoC 최적화 관련 기능 구현 및 지원

  - 예 : Asymmetric Core Task, Fast-Boot 등

ㆍBSP운용, HW 회로도 분석, 외부 디바이스간 I/O Interface 구성 및 기능 구현

ㆍSoC의 기능별 IP 및 전체 System 구동을 위한 Device Driver 개발

  - 예 : webOS/Android//Windows BSP 등

ㆍSystem Device를 제어하는 Device Driver

ㆍKernel/Device Driver의 완성도 검증 및 성능 향상을 위한 Reference Platform 검증 기술

  - 예 : Device Versification Program, Driver Auto Test System, 등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OS Kernel

모집본부/부문

ㆍH&A본부, HE본부, VS본부, BS본부, CTO


직무구분

ㆍSystem SW


상세설명 

ㆍLinux Kernel 성능 최적화 및 신규 OS 기술 개발

ㆍLinux 컴파일러/링커 및 Tool의 최적화 및 신규 기술 적용

ㆍSystem Level에서 문제점을 진단하고 성능 향상을 위한 SW 구조를 설계하고 변경

   (System Profiling,Multicore 최적화, 부팅타임개선, Kernel 기능 추가/개선, HW 가속기의

    활용, 메모리 최적화 등)

ㆍLinux 기반 system에 발생한 전반적인 수행 성능 저하/메모리 부족/실시간성 저하 등의

   이슈를 해결하여 최적화/안정화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창원, 평택 

클라우드 개발

모집본부/부문

ㆍHE본부, BS본부, CTO, CDO


직무구분

ㆍCloud


상세설명 

ㆍPublic Clouds (Azure, AWS, GCP)

  - Event-Driven Microservice Architectures

  - Scalable & Secure REST APIs

  - Containers (Kubernetes, Docker Swarm) & Serverless Architectures

    (AWS Lambda, Azure functions)

  - Back-End Web Development


근무지

ㆍ서울, 평택 

Health-informatics &

BIo-informatics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Healthcare SW Solution


상세설명 

ㆍ유전체 정보 통합 분석 기술

  - 전산학 및 통계학적 기법을 기반으로 대용량의 유전체(DNA, RNA, Protein) 데이터를

    통합, 비교 및 분류하여 각 유전 인자의 기능과 정보를 분석함

ㆍ바이오마커 발굴 기술

  - Multi-omics 기반 유전체 정보 및 임상 정보(RWD) 등 의료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 치료, 예측할 수 있는 핵심 인자(바이오마커) 발굴

ㆍ마이크로바이옴 분석기술

  - 환경 및 인체 유래 미생물의 Amplicon 데이터를 생산 및 분석하여, 미생물 오염 및

    건강 상태를 분석

ㆍ생체신호 분석기술

  - 다양한 센서를 통해 취득된 생체 유래 신호 데이터를 통계적 분석 및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헬스케어 Application(웰니스/메디컬 및 의료 데이터 분야)에 적용하는 기술


근무지

ㆍ서울

Medical imageprocessing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Healthcare SW Solution


상세설명 

ㆍMedical image/video quality enhancement

  - 의료영상의 대비 개선 및 잡음을 예측하여 제거함으로써 낮은 선량에서도 적절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특히, x-ray 분야)

ㆍMedical Image/video segemnation and classification

  - 의료 영상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한 전처리 기술로서, 영상 내의 object를 segmenation

    하고 의미 있는 영역을 인지하는 기술

ㆍGPU/CPU 최적화

  -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하기 위한 고속화 기술: cuda, openmp, opengl,

    sse 등


근무지

ㆍ서울

Generative AI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I Algorithm


상세설명 

ㆍ언어 생성 : LLM을 활용한 텍스트 생성, 질의응답, 코드 생성 및 prompt engineering

ㆍ비전 생성 : 생성 모델을 활용한 Image synthesis, style transfer, contents generation,

                     image manipulation 기술 개발


근무지

ㆍ서울

Cyber Security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W Enigneering


상세설명 

ㆍ보안 취약점 및 민감정보 진단 기술 개발 / 퍼징 기술 개발 / 역분석 및 해킹 연구

ㆍ보안 규제와 보안 표준 개발 및 활동 / 보안 정책 및 관리체계 개발

ㆍCybersecurity & Privacy Engineering (Secure Design, Threat Modeling, Risk Assessmen 등)


근무지

ㆍ서울

OTA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Middleware


상세설명 

ㆍOver-The-Air 원격 제품 SW 업그레이드 및 관리(설정/진단)위한 제품부 및

  서버 구현 기술

ㆍ최적 업그레이드 패키지 생성 및 설치, 제품 상태 진단 및 설정 위한 Data Pipeline

   Protocol 설계/구현

ㆍFOTA - Firmware (System SW) 버전 관리 및 업그레이드, Block based Delta Package

   생성/압축/설치/보안

ㆍSOTA - 복합 시스템, 라이브러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버전 관리 및 멀티 업그레이드

ㆍDM - 원격관리 및 관제 서비스를 위한 Device Management 최적 프로토콜 설계/구현, 

   전송 Data 압축 및 제품 진단 Data 분석


근무지

ㆍ서울

Technical Writing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SW Enigneering


상세설명 

ㆍ개발자 사이트의 콘텐츠 기획, 개발 및 검증

ㆍ개발 프로세스의 이해를 기반으로 각 단계별 문서 개발 (SRS/HLD/LLD 등)

ㆍ샘플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가이드 문서 개발

ㆍ기술 홍보를 위한 콘텐츠 개발 (예: 기술백서, 브로슈어, 기술블로그 등)


근무지

ㆍ서울

Blockchain application

모집본부/부문

ㆍCTO


직무구분

ㆍApplication SW


상세설명 

ㆍBlockchain network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및 관련 보안 기술에 대한 이해

ㆍLayer 2, Layer 3 protocol에 대한 이해

ㆍBlockchain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 기술에 대한 이해


근무지

ㆍ서울



지원자격

ㆍ본 전형은 산학장학생 모집을 위한 공고이며, 최종 합격자의 경우 신입사원으로 입사할 예정으로 경력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ㆍ2024년 8월 ~ 2027년 8월 졸업 예정인 석/박사

ㆍ최종 학력은 반드시 "졸업예정"인 학력을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 예를 들어 현재 석사과정 1~4학기 재학중인 경우 최종 학력은 "석사" 졸업 예정으로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 졸업 구분을 “졸업예정”이 아닌 “수료”로 입력할 시, 한 단계 아래 학위 졸업으로 간주합니다.

ㆍ성적은 지원서 제출일을 기준으로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ㆍ병역 및 기타사항

  - 졸업시점 기준으로 군필자 또는 면제자에 한해 지원 가능합니다. 현재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 중이더라도 졸업시점 군필시

    지원 가능합니다.

  - 해외 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는 경우에 한해 지원 가능합니다.

  - 입사지원서 및 채용 전형 과정에서 허위 사실이 발각될 경우는 입사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최종 학위를 취득하지 못해 입사 시점을 연기할 경우 최종 합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취업 보호 대상자(보훈대상자/장애인)는 관련 법규 등에 의거하여 우대합니다.(향후 관련 증명서 제출 요청 예정)



전형절차

서류전형  >  인적성검사/SW코딩테스트  >  기술면접/종합면접  >  신체검사

ㆍSW 코딩테스트는 SW 직군에 한함 



접수기간 및 방법

ㆍ접수기간 : 2023. 08. 28 ~ 2023. 09. 25 16:00

ㆍ접수방법 : LG그룹 채용 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지원(우편, e-mail, 방문접수 불가)

ㆍ지원서 제출은 마감 전까지 수시로 가능하며 가장 최근 저장한 상태로 최종 반영되니 기한 내 제출완료 될 수 있도록

   미리 수시로 저장 및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사항

ㆍ문의처 : LG Careers 채용문의 內 1:1 질문하기

ㆍ산학장학생 선발 혜택

  - LG전자 취업보장

  - 졸업시까지 산학장학금 지급

  - LG전자 연구 소 내 인턴쉽 지원(방학연계)

ㆍ제출하신 이력서를 검토하여 SW 프로그래밍 역량과 관련성이 높은 직무의 경우 SW코딩테스트를 실시합니다. (대상자 개별 안내)

ㆍ외국어 역량은 추후 어학 성적서를 요청하거나, 별도의 어학 면접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입사지원시 어학성적 없어도 지원 가능)

ㆍ근무지는 지원자의 희망 근무지 선택을 고려하여 배치하지만 직무 및 전공에 따라 회사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ㆍ전형 단계별 합격자는 채용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ㆍ본 공고는 LGE MEMBERS 인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 채용 계획 및 개인별 적합 분야에 따라 지원 분야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ㆍ본 공고에 나타나지 않은 상세한 내용은 서류접수 후 필요시 본인들에게 별도 안내 드리겠습니다.

ㆍ시스템 에러, 비밀번호 분실, 지원서 수정 및 작성오류발생 문의: LG Careers 사이트 내 “채용문의” → “1:1질문하기”를 이용

ㆍ등록된 이메일/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으면 “이메일주소/비밀번호 찾기”를 클릭해서 확인 부탁 드립니다.

ㆍ이메일, 보조이메일, 비밀번호를 잊어버리신 경우에는 “이메일주소/비밀번호 찾기”하단에 “로그인 문의”를 클릭해

   문의 부탁 드립니다.

ㆍ공고 마감일에는 지원자들의 문의가 폭주하여 답변 및 관련 대응이 늦어질 수 있으며, 지원서 등록 마감시점 이후에는 

   입사 지원이 불가하므로 등록 관련 문제가 있으시면 마감 3일 전에 여유 있게 문의/요청 해주십시오.

ㆍ자세한 상세요강은 반드시 채용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