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마로지스㈜
동아쏘시오그룹 계열사
일반 화물자동차 운송업
업계 6위
1785

관심기업 추가하고 채용소식 받기

닫기

기업분석 View

기업심층분석 4. 용마로지스, 고객 / 자사 / 경쟁사 분석

업데이트 2023.11.15. 조회수 879

 

고객, 자사, 경쟁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 현재 처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현재 어떤 곳에 있고, 고객은 어떤 집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경쟁사에 비해 어떤 비교 우위 전략을 가졌는지 살펴보자.


고객 분석(Customer)

Analysis 1
용마로지스는 그룹 내 제약사를 중심으로 국내 의약품 물류업계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업체다. 병원 납품 의약품이나 의료기기를 만드는 제조사를 대신해 수도권과 지방의 병원에 제품을 배송하고, 병원 내 재고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3PL 사업을 영위한다. 주요 고객사로는 계열사인 동아제약, 동아오츠카, 동아ST를 비롯해 다국적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존슨앤드존슨(J&J), 갈더마, 바이엘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3PL 서비스의 핵심 요소인 WMS(창고관리시스템)를 업계 최초로 도입했으며, 30년 이상된 의약품 물류 노하우와 의약품 취급에 특화된 콜드체인 등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Analysis 2
용마로지스는 의약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에 대한 공동 택배 시스템 구축의 선두 주자로, 제약업체 180여 개사, 화장품업체 50여 개사 등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택배 서비스의 주요 고객사로는 한미약품, SK케미칼, 종근당, 박스터, 로레알, 에스티로더 등이 있다. 전국 34개 지역에 택배센터를 운영하며 전국 인프라를 구축해 전국 24시간 내 택배 완료율이 99.8%에 달한다. 이와 함께 화물추적 시스템으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화주 제안에 따라 물류 컨설팅 및 고객 위주의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향정신성 의약품, 전문 의료기기 특화 택배 및 백화점, 면세점, 대형마트 등 전문 택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사 분석(Company)

1983년 출범한 용마유통이 모체인 용마로지스의 주요 사업 영역은 전국화물, 택배, 자동차운송알선주선업, 복합운송주선업, 운수창고업 및 도소매업 등이다. 동아제약의 물류 자회사로 출발했으나 어엿한 전문 물류기업으로 성장했다. 일반적으로 배송업계는 본사와 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가 영업소를 운영한다. 하지만 용마로지스는 의약품 배송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영업소를 직접 운영한다. 2022년 기준으로 전국에 보관물류센터 24개, 배송센터 35개, 운송영업소 6개를 보유하고 있다. 안성물류센터가 허브 역할을 하는 한편, 신갈 및 영동센터가 서브 터미널 역할을 한다. 용마로지스의 본사가 위치한 김포에도 김포물류센터가 있다.

1990년대 들어 물류센터 개설,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면허 취득, 창고관리시스템 솔루션 도입 등으로 물류사업의 영역을 확대했다. 2000년부터는 택배 분류기를 도입해 작업 효율을 높이고 2004년에는 택배 개인용 정보단말기, 전 차량 GPS 탑재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축했다. 2007년 용마유통에서 용마로지스로 상호를 변경하고, 2006년부터 포워딩 서비스(국제물류주선업)까지 사업을 확대했다. 2010년 의약품 도매상 허가를 취급하고 2011년 허브센터 자동분류 증설, 스마트 배송 시스템을 구축했다.

2022년부터 강화된 바이오의약품 관리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제품 특화 배송 서비스를 도입해 바이오의약품 정온 배송, 전용 용기 렌털사업 등을 시작하는 등 의약품 배송 전문성을 한층 높였다. 이 외에도 2017년부터 지자체와 협의해 폐의약품 수거사업을 시작, 2021년 동아제약, 대한약사회와 함께 폐의약품 수거를 위한 건강하고 안전한 동행을 지속하고 있다. 2022년부터는 식약처와 함께 가정 내 의료용 폐마약류 수거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ESG 경영도 강화하고 있다.



경쟁사 분석(Competitor)
Analysis 1. 경쟁 사업자

의약품 물류 시장의 대표 기업은 용마로지스, CJ대한통운, 고려택배 등이다. 용마로지스의 시장 점유율은 60%가 넘으며, CJ대한통운과 고려택배가 나머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Analysis 2. 경쟁 상황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조선미곡창고를 시작으로 90여년간 물류 외길을 걸어왔다. 창고 보관과 하역업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래 1960년대 산업 기반 시설 기자재 운송사업으로 확장했으며, 1990년에는 사상 최초 대북지원물자 육상 운송과 하역을 수행하면서 대북물류 전담 업체로 발전했다. 또한 1993년부터 택배사업에 진출하면서 기존의 CL 사업부문을 비롯해 글로벌 사업부문, 택배 사업부문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국내 1위 업체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1966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각지로 진출해 국내 기업의 물류 파트너가 됐다. 지속적인 글로벌 확장으로 35개국에 154개 법인의 자체 네트워크를 갖추고 계약물류, 포워딩, 국제특송 등 종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물류 영역(3PL) 중 제약 부문은 KGSP(우수의약품 유통관리기준 적합) 기반 글로벌 표준을 적용한 제약 특화 물류 체계와 최첨단 시스템으로 의약품 창고 보관부터 약국 및 도매점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고려택배

고려택배는 1972년 화물운송사업을 시작으로 1998년 의약품 물류를 핵심 사업 영역으로 발전시켜 왔다. 창업 이래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한다’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 의약품 전문 물류회사로 자리매김했다. 헬스케어 산업이 인류의 건강과 경제적 번영을 이끌어 갈 분야로 주목받게 되면서 고려택배 역시 도전적이고 혁신적이며 안정적인 헬스케어 물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KGSP 인증을 시작으로 물류 시설 투자, 정온 물류 정온 배송 구축사업, IT 솔루션 개발 등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지속 성장하는 헬스케어 물류기업-고려택배’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업분석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