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효성첨단소재(주)
효성그룹 계열사
화학섬유 제조업
업계 4위
584

관심기업 추가하고 채용소식 받기

닫기

기업분석 View

기업심층분석 2. 효성첨단소재, 최신 트렌드 분석

업데이트 2023.11.30. 조회수 407

놓치지 말아야 할 업계와 기업의 최신 이슈와 뉴스를 체크하여 채용 전형 전반에 활용해 보자.


1. 업계 트렌드

* 첨단소재 개발에서 기회를 찾는 화학섬유 기업들
한국화학섬유협회에 따르면 국내 화학섬유 생산량은 2011년 147만 6,000톤에서 2021년 123만 2,000톤으로 10년 새 16.5% 감소했다. 이는 중국, 동남아시아 등을 중심으로 화학섬유 공급량이 크게 늘면서 생산량을 조절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산 화학섬유 유입에 따른 경쟁 심화로 우리 기업들의 수익성도 전반적으로 저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 화학섬유 기업들은 이른바 ‘슈퍼섬유’로 불리는 첨단소재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폴리에스터 장섬유 생산을 줄이는 대신 산업용 섬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을 확대해 수익성 개선을 하기 위해서다.

대표적인 기업은 효성첨단소재와 코오롱인더스트리, 태광산업으로, 탄소섬유, 아라미드 등을 개발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탄소섬유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 항공/우주, 자동차 등에서 철을 대체하는 경량화 소재로 활용된다. 아라미드는 파라계의 경우 철보다 강도가 강하고 탄성이 우수해 항공기 재료와 타이어 및 광섬유 케이블 보강제 등으로 사용되며, 메타계는 500˚C의 고온에도 타지 않아 방화복 용도로 쓰인다. 이 중 탄소섬유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탄소섬유의 무게는 철과 비교해 4분의 1 수준인 반면 강도는 10배 높다. 그래서 ‘슈퍼섬유’로도 통하는 탄소섬유는 태양광 단열재,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항공기 동체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된다. 세계 탄소섬유 수요는 2022년 12만 8,000톤에서 2025년 24만 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미래 먹거리 ‘수소’가 뜬다
정부는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수를 310개소, 수소차는 8만 1,000대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2021년 11월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통해 본격적으로 산업 등 생태계 활성화에 나섰다.

2020년 기준 세계 수소 생산 시장은 1,296억 달러 규모로, 2025년에는 2,014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관련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도 9.2%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효성, SK, 두산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수소 산업에 앞다퉈 뛰어드는 이유다. 현재 이 기업들은 액화수소 생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액화수소는 기체 수소를 액상 상태로 변환해 부피를 줄인 제품으로, 차세대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저장과 운송이 쉽고 빠른 충전 속도와 폭발/화재 위험성이 낮아 주목받고 있다.



2. 효성첨단소재, 최신 트렌드

* T-1000급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에 성공
효성첨단소재는 2022년 10월 T-1000급(탄소섬유의 상대적 강도를 보여주는 분류)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에 성공했다. 이는 미국, 일본에 이은 세계 세 번째다. T-1000급 탄소섬유는 철보다 강도가 14배 이상 높다. 기존에 생산하던 T-700급 탄소섬유의 강도가 철과 비교해 10배 높은 것을 감안하면 강도가 40% 이상 향상됐다. T-1000급 탄소섬유는 향후 우주/항공 분야를 중심으로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높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효성첨단소재는 신기술 개발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자 2028년까지 전주공장의 탄소섬유 생산능력을 2만 4,000톤까지 늘리기로 했다.



* 협력사에 ESG 경쟁력 위한 LCA 사업 지원
효성첨단소재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친환경 규제에 대비해 협력사에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LCA) 산정 사업을 지원한다. 이번 지원은 글로벌 고객사들이 탄소중립 이행을 강화함에 따라 협력사의 ESG 경쟁력 제고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며, 국내 희망 협력사 4개사, 7개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LCA는 국제표준 ISO 14044에 기반해 원료 추출과 가공부터 제조, 폐기 등에서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와 물질 양을 정량화해 환경 영향을 총체적으로 평가한다. 기업이 친환경 규제를 지키기 위한 기준으로, 이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업분석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