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커리어 세부메뉴

취업뉴스
뉴스

직장인 월 평균 5.1회 야근

잡코리아 2023-10-25 14:00 조회수15,673

   

직장인 월 평균 5.1회 야근

 

직장인들 중 야근을 가장 자주 하는 직무는 '연구개발/R&D' 분야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직장인들이 가장 야근을 많이 하는 요일은 '수요일'인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가 가 남녀 직장인 862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야근 빈도'를 주제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다. 잡코리아는 설문에 참가한 직장인들에게 '평소 야근을 얼마나 자주 하는가?' 질문했다. 그러자 ‘자주 한다’고 답한 이들이 28.0%로 나타났다. 평소 야근을 '가끔 한다'고 답한 이들은 49.2%였고, ‘거의 안 한다’고 밝힌 이들은 22.9%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야근을 하는 이유(*복수응답)는 업무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시간 내에 일을 다 끝내지 못했을 때 남아서 야근한다는 의견이 응답률 58.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상사나 거래처가 퇴근 시간에 임박해서 일을 넘겼기 때문에(49.1%) 야근을 하는 이들도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도 △해외 지사와의 연락 등 업무 특성 상 야근이 불가피해서(24.0%)가 뒤를 이었다.
한편, △야근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기업 문화와 상사 눈치 보기 때문에 야근을 한다는 의견은 응답률 19.3%로 비교적 낮게 선택됐다.

 

잡코리아는 직장인들의 야근 빈도와 시간을 개방형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직장인들은 월 평균 △5.1회 정도 야근을 하고 한 번 야근 시 △2시간 정도 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직장인들은 한 달에 약 10시간 정도 초과근무를 하는 셈이다.

 

잡코리아는 직장인들의 직무별 야근 빈도와 시간도 조사했다.
그 결과, 야근을 가장 자주 하는 직무는 '연구개발/R&D'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직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밝힌 직장인들 중 41.2%가 자주 야근을 한다고 밝혀 타 직무 대비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생산/현장직(31.9%) △재무/회계(29.4%) △IT/개발(26.0%) 순으로 야근을 자주 하는 직무로 나타났다.

 

한 번 야근 시 가장 길게 일하는 직무는 △IT/개발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IT/개발 업무를 담당하는 직장인들은 한 번 야근 시 2시간 24분을 더 일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연구개발/R&D 2시간 14분 △디자인/기획 2시간 7분 △재무/회계 2시간 4분 △생산/현장직 1시간 59분 △인사/법무/총무 1시간 55분 △판매/서비스 1시간 50분 △광고/홍보/마케팅 1시간 45분으로 집계 됐다.

 

그렇다면 무슨 요일에 가장 야근을 자주 할까?
설문 참가자들에게 야근을 자주 하는 요일을 꼽아보게 한 결과, △수요일이 25.8%로 가장 많았다. 근소한 차이로 △월요일에 야근을 자주 한다고 답한 직장인이 22.9%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목요일 (18.2%) △화요일(17.1%) △금요일(16.1%) 순으로 조사됐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 FB_21310*** 2023-10-26

    포괄임금제? 답글달기

  • KA_34496*** 2023-10-25

    “야근”의 기준이 뭔가요? 퇴근시간 기준으로 얼마나 더 추가근무를 해야 야근이라고 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답글달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대기업 인적성 준비 비용 평균 13만 4천원
이전글
직장인 78.0% '대학 전공 다시 선택할래!'... 인기 학과 1위 '공학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