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업분석보고서

기업심층분석 3. 현대리바트,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업데이트 2023.11.13. 조회수 734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현대리바트,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현대리바트는 2022년 연 매출 1조 4,632억 원에 27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매출 1조 3,860억 원을 달성하고 195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으며, 2020년에는 1조 3,626억 원의 매출액과 348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Analysis 2. 사업 성과

현대리바트의 2022년 적자는 코로나19 이후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고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자 구매력이 약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쟁 사업자인 한샘과 신세계까사 등 업계 대표 기업들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실적 악화 현상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현대리바트는 부진한 실적을 만회하는 한편, 차세대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해 꾸준히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 토털 인테리어 개념의 ‘집테리어’ 대리점을 확대하고, 중고 가구 직거래 플랫폼인 ‘오구가구’ 등을 여는 등 고객과의 온오프라인 접점을 늘리는 한편, 차세대 친환경 주택으로 꼽히는 모듈러 하우스 투자 등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2023년 2분기 흑자 전환에 이어 현대리바트의 실적 개선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유안타증권은 현대리바트의 주요 원재료인 파티클보드(PB), 중밀도섬유판(MDF) 가격 하락에 따라 점진적 실적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예측했고, 하나증권 역시 최근 주택 매매 거래량이 상승함에 따라 국내 1위 빌트인 가구업체인 현대리바트의 호실적을 예상했다. 장기적인 전망도 밝은 편이다. 범현대 기업의 유통망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영업 활동을 이어 가는 것은 물론 친환경 및 프리미엄 가구 등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에 힘입어 꾸준한 상승세가 기대된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200자까지 작성할 수 있으며 허위정보 및 명예훼손, 비방, 욕설, 광고성 글은 운영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기업리뷰 서비스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