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퓨처랩 세부메뉴

취업뉴스
시사

[이슈&찬반] 자율성과 교권 침해 경계에 놓인 혁신학교, 확대해야 할까?

잡코리아 2019-03-20 12:42 조회수5,041

 

“자율·창의성 향상” vs “기초학력 저하될 것”



| 배경 상식


9,000가구에 달하는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입주 예정 주민들이 단지 내 가락초와 해누리초·중학교의 혁신학교 지정을 강력하게 반대하면서 최근 논란이 일었다. 서울시교육청은 결국 혁신학교 지정을 1년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문재인 정부는 ‘혁신학교 전국 확대’를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고, 임기 내내 추진할 계획이라 앞으로 비슷한 논란이 계속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부터 기존의 혁신학교를 일반화한 ‘민주시민학교(가칭)’ 51개교를 선정할 계획이다. 민주시민학교는 민주시민교육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구성되며, 학생 자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인재 양성과 교육 개혁을 위해 혁신학교를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나 이에 대해 “진보 교육감들의 보여주기식 제도로서 입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학부모들의 반대 여론도 팽팽하다. 혁신학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키우는 데 중요한 창의적 교육을 습득할 수 있으므로 교육의 미래에 대안이 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기초학력조차 갖추지 못한 학생들에게 높은 학습능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무작정 혁신학교를 늘리기보다는 혁신학교의 실질적 교육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공개함으로써 학부모들을 설득하는 게 급선무로 보인다.





[ YES ]혁신학교 확대

“자율·창의성 향상”

혁신학교는 따분한 교실에서 학생 태반이 잠자는 현실을 깨트리기 위한 대안이다. 학교·수업 운영 등에 높은 자율권을 보장한다. 그리고 교육청에서 수업 방식의 자율권을 부여받아 교사가 수업을 자유롭게 편성한다. 중앙정부가 짠 교육과정을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학교에서 학생 수준이나 지역 형편에 맞춰 수업 내용 등을 재구성해 가르친다.

이를 통해 혁신학교는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체험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평가 또한 교과 과정 내 특정 주제 등에 대해 학생들이 진행한 조별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학생들이 주도하는 학교”

혁신학교는 도입 후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전국에 확대됐다. 2018년 기준 혁신학교 수는 경기 541개, 서울 189개 등 전국적으로 1,525개다. 혁신학교 졸업생들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직접 다양한 경험을 한 점이 오히려 입시에 도움이 됐다는 반응이다.

주입식 공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시도되는 혁신학교는 학생 등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권위적·일방적이었던 기존 학교 문화를 민주적 소통을 습득하는 터전으로 바꾸고 있다. 학생들이 억지로 가는 학교가 아니라 가고 싶은 학교를 더 많이 만들어주는 것이 어른들의 할 일이다.





[ NO ]혁신학교 확대

“기초학력 저하될 것”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서 학생들에게 입시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혁신학교는 입시 대비에 적합하지 않다. 자유롭게 편성한 수업으로 진행하다 보니 교과 진도를 다 끝내지 못하고 학기가 끝난다. 교육과정과 기초학력을 갖추지 못한 학생은 입시제도가 중요한 현실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다.

특히 대학 입시를 앞둔 고등학교가 갑자기 혁신학교가 된다면 학생들은 공부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실제로 2016년 10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혁신학교 학생 비율이 전국 고교 평균보다 3배 높았다. 이는 혁신학교가 입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객관적 성과 검증 필요”

학생의 인권과 자율성을 중시하는 혁신학교의 취지는 좋지만, 학생들의 책임을 수반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방임을 자율성과 창의성으로 방조한다면 교권과 학습권의 경계는 허물어질 것이다. 이로 인해 학교생활이 엉망이 되는 피해는 오로지 학생들의 몫이 된다.

혁신학교가 교육과정이나 학교 문화를 바꿨다는 주장도 있지만 그러한 성과는 객관적 수치로 검증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혁신적인 것 같아서’ 모든 학교를 혁신학교로 바꾸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혁신학교의 성과와 한계를 명확히 분석한 뒤에 확대 여부를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인물·용어] 한국 금융시스템 안정성의 수준을 평가하다!
이전글
[SNS 톡톡] 첫 방송 조회수 76만 명!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킨 유튜버는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