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채용중
서울형 강소기업

서울시에서 직원의 정규직 비중, 임금수준, 근무환경, 기업 성장 가능성 등 일자리 질을 따져 청년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한 기업입니다.

닫기
㈜인티그레이션
인티그레이션그룹 계열사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93

관심기업 추가하고 채용소식 받기

닫기

기업분석 View

기업분석보고서 2. 인티그레이션, 최신 트렌드 분석

업데이트 2023.06.15. 조회수 516

놓치지 말아야 할 업계와 기업의 최신 이슈와 뉴스를 체크하여 채용 전형 전반에 활용해 보자.


1. 업계 트렌드

* 스타트업 창업에 나선 의사들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으로 근무하던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살려 사업가로 변신하는 스타트업 이 증가하고 있다. 작은 규모의 병원을 개원한 의사, 학교 졸업 후 이제 막 실무에 투입된 간호사 등 의료진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맞춤 플랫폼 개발이 이들 사업의 주를 이루는데, 경험자들이 개발한 상품인 만큼 소비자의 신뢰 및 활용도가 높아 업계의 반응이 뜨겁다. 의료진이 만든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한의사가 만든 앱 ‘메디스트림’과 치과의사가 만든 ‘모어덴’ 그리고 간호사를 위한 앱 ‘널스노트’ 등이 있다. 인티그레이션이 운영하는 메디스트림과 모어덴은 진료 외에 병원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의료진이 진료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널스노트는 이제 막 실무를 시작한 간호사가 익혀야 할 내용 등을 공유해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고 빠른 적응을 돕는다.



*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확대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개인 맞춤형 정밀 의약품 및 치료 기기 개발, 의료 플랫폼 개발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벤처캐피탈(VC) 업체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국가생명 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헬스케어 분야는 2020년 3,094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 5,836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약 8.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침체 전망으로 투자 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국내 헬스케어 업체들만 연이어 투자 유치에 성공하고 있는 이유다. 인구 고령화, 웰빙 붐, 코로나19로 인한 감염 위험에 대한 두려움 등이 더해지며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는 꾸준히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새로운 아이디어로 무장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은 앞으로도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인티그레이션, 최신 트렌드

* 100억 원 시리즈B 투자 유치
투자 불황 속에서 인티그레이션은 2023년 1월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본격적인 사업 확장 단계에서 받는 투자)를 유치했다. 이로써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163억 원이 됐다. 이번 투자를 주도한 벤처캐피털 TBT파트너스는 투자 이유에 대해 한의사, 치과의사 출신의 창업자가 한의학, 치의학 커뮤니티를 조성해 동료 의사에게 꼭 필요한 콘텐츠와 커머스를 제공하는 사업 모델이 돋보였고, 향후 병의원 경영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플랫폼이 되겠다는 비전에 공감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인티그레 이션은 이번 투자를 계기로 기존 서비스의 고객 경험 고도화, 한의원 및 치과의원 유통망을 통한 기업 소비자 간 거래(B2C) 시장 진출, 경영지표관리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 신제품 출시에 주력할 계획이다.



* 설립 45개월 동안 매출 27.5% 성장
2022년 말 기준 인티그레이션이 운영하는 플랫폼에 가입한 의료인 수는 4만 4,000여 명에 달한다. 한의계의 69%(2만 7,400여 명 중 가입자는 1만 8,900여 명), 치과계 43.3%(3만 1,900여 명 중 1만 3,800여 명), 치위생 19%(6만 1,900여 명 중 1만 1,170여 명)를 확보하고 있는 것. 의료인 플랫폼으로는 독보적 가입자 수다. 이에 설립 후 1분기 매출 1억 9,000만 원 대비 2022년 3분기 매출이 52억 원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4년이 채 되지 않은 기간에 가파르게 성장한 것. 2023년 1월 투자 유치까지 성공하며 인티그레 이션의 성장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기업분석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