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퓨처랩 세부메뉴

취업뉴스
시사

상식이 댄디해지는 한국사 칼럼

잡코리아 2017-08-29 03:32 조회수3,395


 

조선의 3대 의적義賊과
구한말舊韓末의 활빈당活貧黨


 

전근대의 백성들은 흉년이나 지배층의 탐학으로 살림이 궁핍해지면 기약 없는 유랑流浪의 길을 나서야만 했다. 개중에는 도적盜賊으로 화하여 무리를 이루고 생활하는 길을 택하는 이들도 생겨났다. 본디 도적이라 함은 남의 물건을 완력으로 빼앗거나 몰래 훔쳐 자기 것으로 삼는 자들을 일컫는다. 대부분 그 무리가 작을 땐 대상을 막론하고 단순한 노략질로 끝이 나지만, 일명 수령首領을 위시한 대집단을 이룰 경우, 탐관오리貪官汚吏 등 특정 지배층을 향해 칼끝을 겨누는 일이 많았다. 그러한 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 이유에 대한 정당성을 찾았으며, 나아가 백성들의 호응을 등에 업고자 함도 내포되어 있었다.

 

백성들은 자신들을 수탈하고 괴롭히는 지배층에게 칼을 들이대고 그들의 재산을 가로채는 도적 무리에게서 대리만족을 느끼며, 그들이 끝까지 잡히지 않고 탐관오리들을 혼내주기를 바랐을 것이다. 이러한 바람은 점차 백성들의 머릿속에서 의로운 도적, 의적義賊의 모습으로 화하여 전해지게 되었다. 어찌 보면 의적은 민초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의적은 조선 시대의 인물들로,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李瀷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조선의 3대 의적으로 홍길동·임꺽정·장길산을 꼽았다. 바로 이들이 앞서 언급했던 ‘무리를 이루어 지배층에 대항한 도적’의 대표적인 케이스라 할 것이다.

홍길동洪吉同은 허균許筠의 소설 「홍길동전」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인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11번이나 언급되는 실존 인물이다.1) 조선 제10대 임금인 연산군燕山君(재위 1494~1506) 때 활동한 홍길동은 고위 관료의 복장을 하고 첨지僉知를 자칭하였으며, 자신의 무리와 함께 무기를 소지한 채 관청을 거리낌 없이 드나들었다. 그럼에도 해당 관청의 관리는 이들을 체포하려 하지 않았으며, 백성들 역시 피해 입은 사실이 없었다.2) 허균은 기록에 전하는 대도大盜 홍길동을 사회적 불평등과 부조리에 저항하는 혁명적 영웅의 모습으로 만들어 내었고, 그 인상은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1) 홍길동의 한자 표기는 『조선왕조실록』의 경우 洪吉同, 소설 『홍길동전』은 洪吉童이라 하여 차이가 있다.

2) 『燕山君日記』 卷36, 燕山君 6年 12月 29日條.



제13대 임금 명종明宗(재위 1545~1567) 때의 인물 임꺽정은 당시 사회에서 노비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신분인 백정이었다. 조선 시대의 백정은 어린아이에게조차 머리를 숙여 자신을 ‘소인’이라 칭해야 했으며, 사회적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 차별과 멸시를 받았다. 길에 다닐 때는 백정 신분을 나타낼 수 있도록 대나무로 만든 패랭이를 써야 했고, 통행증없이는 이동에도 제약이 따랐으며 심지어 입는 옷과 신는 신발도 마음대로 할 수 없었다. 임꺽정은 이러한 부조리에 정면으로 맞선 인물이었고, 그의 의지는 수탈에 지친 백성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았다. 그의 세력이 한때 조정까지 뒤흔들 정도로 강성했음은 당대 최고의 권력을 가졌던 윤원형尹元衡과 삼정승(영의정·좌의정·우의정)이 모여 토벌 계획을 세웠던 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3) 장길산은 임꺽정과 마찬가지로 천인에 속하는 광대 출신으로 제19대 숙종肅宗(재위 1674~1720) 때 황해도 구월산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그에 관한 기록은 10년이 넘는 활동 기간이나 그가 벌였던 일의 스케일에 비해 단출한 편이다. 숙종 18년(1692), 장길산 체포에 실패한 현감을 벌주었다는 기사, 숙종 23년(1697)에 승려·서얼 등 당시 사회에서 핍박받던 무리들의 반역 모의에 장길산 일당이 결탁했다는 기사,4) 숙종이 장길산을 직접 언급하며 체포를 독촉했다는 기사 등이 전부다.5) 그럼에도 그가 앞서 언급한 두 명과 대등한 명성을 획득한 데에는 긴 활동 기간 동안 한 번도 잡히지 않았던 신출귀몰한 행적과, 당시 사회의 하층 세력과 함께 모순된 구조를 뒤집어 새 세상을 열려고 시도했던 그의 큰 꿈 때문일 것이다. 그는 홍길동, 임꺽정과 달리 끝내 관군에게 잡히지 않음으로써 그야말로 전설이 되었다. 이상의 세 인물이 후대에 의해 의적으로 재탄생한 경우라면, 대한제국 말기에 부자들의 재산을 탈취하여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는 등 의적 활동을 표방하는 집단이 실제로 나타났다. 이들이 자칭한 활빈당이라는 명칭은 1885년에 처음 확인되며,6) 점차 그 세력이 거대해져 봉건 권력으로도 근절시킬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고 한다.7) 그러나 조직이 체계적이지 않고 사상적으로 확고한 이념이 정립되지 못했던 그들은 결국 와해되었고, 일부는 의병 활동에 가담하여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였다. 도적이 의적이 되는 세상, 의적이라는 영웅이 만들어진 세상은 답답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다. 장미대선을 앞둔 지금, 우리는 의적이 필요하지 않은 세상을 기대하고 있다.


3) 『明宗實錄』 卷25, 明宗 14年 3月 27日條.
4) 『肅宗實錄』 卷24, 肅宗 18年 12月 13日條.
5) 『肅宗實錄』 卷31, 肅宗 23年 1月 10日條.
6) 『高宗實錄』 卷22, 高宗 22年 3月 6日條.7) 朴在赫, 1994, 「韓末 活貧黨의 活動과 性格의 變化」 『釜大史學』 19, 484~486쪽.





본 자료의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의견 나누기

의견 나누기

0 / 200 등록하기

0 / 200 등록하기

다음글
[35주차] 금주의 인물&용어
이전글
금주의 생생 취업칼럼 '왜 내 고백을 받아주지 않는 거니?'